쿠팡에서 진씨와 같은 30대 리더나 임원 발탁은 ‘파격’이 아니다. 단기간에 승진을 거듭한 이들이 적지 않다. 입사할 때는 낮은 직급이었던 사람이 어느 순간 상급자를 추월해 더 높은 자리에 올라가 있기도 하다. 이런 경우에도 ‘‘후배 밑에서도 일할 수 있다’고 스스로 주문을 걸 필요가 없고, ‘승진에서 밀려서 어쩌냐’고 위로하는 분위기도 없다. 말 그대로 ‘성과주의’에 충실한 인사 원칙에 쿠팡 직원들은 익숙해 있다.
쿠팡은 규모로 따지면 대기업이다. 2021년 처음 공시 대상 대기업집단에 지정됐으며, 자산 총액 기준 재계 27위(2024년)로 몸집이 커졌다. 하지만 쿠팡 고위관계자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우리는 대기업이 아니다”며 손사래를 친다. 겸손일까, 엄살일까.
쿠팡의 전직 임원은 “쿠팡은 물류와 유통 분야에서 쟁쟁한 대기업과 경쟁해야 하고 집중적인 견제를 받고 있다”면서 “후발주자인 쿠팡이 다른 대기업과 같은 기득권임을 스스로 인정한다면 얻을 게 없다. 예전보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공급가 협상에서 쿠팡이 큰 목소리 낼 입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 과장’도, ‘공채 동기’도 없다
잡 레벨이 높다고 꼭 높은 자리에 있는 것도 아니다. 팀장 보다 팀원의 잡 레벨이 높은 경우도 있다. 다른 기업에서 연공서열에 익숙하다가 쿠팡에 이직한 사람들이 처음에 가장 의아하게 느끼는 부분이라고 한다.
대기업 출신의 현직 쿠팡 직원 A씨는 “처음 회의를 할 때, 누가 팀장이고 누가 팀원인지 헷갈릴 정도로 혼란스러웠다”면서도 “경험해 보니 이런 문화가 문제 해결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잡 레벨은 성과에 대한 보상일 뿐, 권위나 힘의 크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회의에서 만나는 직원들은 서로의 잡 레벨을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한다. e메일이나 화상 미팅, 단체 대화방에서 다양한 직무의 직원들이 회의할 때는 영어 이름과 담당 업무만 공유할 뿐이다. 상대의 잡 레벨을 알아내는 일은 가능하지만, 굳이 그렇게 하려고 들지 않는다.
이러니 입사 동기나 선배, 후배라는 개념 자체가 모호하다. 빨리 들어왔다고 잡 레벨이 높은 것도 아니고, 사람이 자주 들고나니 파벌주의가 뿌리 내리기도 어렵다. 쿠팡의 전직 임원은 “쿠팡은 전무가 대리처럼 일하는 곳”이라면서 “직급이 높을수록 성과를 증명해야 하고 상명하복 문화가 없다. 눈치를 보거나 줄을 설 이유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애자일로 작동하는 쿠팡
애자일의 핵심은 독립적인 사업 조직 리더를 일컫는 PO(프로덕트 오너)와 PM(프로덕트 매니저)이다. 이들은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등을 모아 팀을 구성해 업무를 이끄는 ‘미니 CEO’다. 부서장이나 팀장 같은 평가 권한은 없고 사업을 기획하는 업무를 이끈다. 쿠팡은 2014년부터 PO를 채용해왔으며, 2022년부터는 PO와 PM 직무를 모두 두고 있다. 쿠팡 관계자는 “PO가 프로덕트를 어떤 전략으로 만들지 기획하는 업무를 한다면, PM은 유관 부서와 타임라인을 맞춰 조율해가며 실제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10년 가까이 쿠팡에서 일했던 전 직원은 “일반적인 회사에서 ‘보고서. ver1, 2, 3…’같은 식으로 파일명이 만들어지지만, 쿠팡에서는 불가능하다. 개개인의 하드디스크가 아닌 공유 폴더에서, 공유 시트와 대시보드를 통해 업무가 실시간 공유되기 때문이다”라고 기억했다. 쿠팡에서는 누가 시킨 일인지, 몇 번째 버전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어느 시점 기준의 자료인지만 중요할 뿐이다. 이 직원은 “시키는 거나 잘하라”는 말이 존재할 수 없는 회사라고 말했다.
“열심히 했다” 말고 ‘숫자’로 말하라
쿠팡에서 2년간 일한 문석현 데이터경영연구소장은 “성과 측정에 사내 정치나 주관적인 요소가 끼어들 여지를 거의 두지 않으려고 한다”면서 “쿠팡에서 일할 당시 PO실 실장이 인도계 미국인이었는데, 그가 늘 요구하는 것이 ‘숫자로 이야기해라’였다. 수치상으로 임팩트가 입증될 성과를 보여달라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평가등급은 TT(탑티어)-HV+(하이밸류 플러스)-HV(하이밸류)-LE(리스트 이펙티브) 등 4단계로 구분된다. LE가 하위 10%에 해당하는 낮은 등급. 3번 연속 LE를 받으면 점검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현재 맡은 업무에 적합한 지를 따져보고 코칭을 해주는 개념이다. 하지만 “LE 등급을 받으면 사실상 버티기가 쉽지 않다. 꾹 참고 다니는 사람도 있지만, 상당수가 이직을 결심한다”는 것이 쿠팡 직원들의 이야기다. 그만큼 쿠팡의 평가는 공정함을 지향하며, 냉혹하다.
쿠팡 인사제도의 또 하나의 특징은 ‘짠 복지’다. 직원들은 명절에 지급되는 쿠팡 캐시(10만원) 외에는 자랑할 만한 것이 없다고 말한다. 쿠팡의 직원 B씨는 “대기업은 연말에 목표치를 넘기면 직급별로 나눠주는 성과급이나, 유급 포상휴가를 주는 데는 그런 게 일절 없다”면서 “본인 평가에 따라 주어지는 보상만 존재할 뿐”이라고 말했다. 쿠팡의 한 임원은 “7만명이 넘는 직원들의 근무 환경과 업무, 고용형태가 다르다 보니 일률적인 복지를 마련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계속)
짠 복지에도 불구하고 쿠팡에 수많은 사람이 다니는 이유는 뭘까요.
“주차장에 고급 차가 늘었다” 쿠팡에서 근무했던 직원의 목격담입니다.
전현직자들이 말하는 쿠팡만의 매력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더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8311
김범석은 안경부터 벗었다, 로켓배송 쏘게 한 ‘분노 3단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0003
“그 임원들, 술·담배 안 한다”…쿠팡 떠도는 ‘모르몬교’ 소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1718
“범이 또 물류센터 출근했대?”…전국 70% 쿠세권 만든 한 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3076
“신발 주문한 분” 공항서 외쳤다, 김범석이 꽂힌 최초의 쿠팡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4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