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바이오 인재 11만 명 양성”...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정부가 국가 바이오 정책 수립의 구심점이 될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출범하고 2035년까지 글로벌 바이오 5대 강국에 진입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열린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상엽 KAIST 연구부총장, 최 권한대행,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열린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상엽 KAIST 연구부총장, 최 권한대행,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23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서울바이오허브에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과 1차 회의를 주재했다. 대통령 직속 기구인 국가바이오위원회는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이 이어지며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가 최상목 권한대행이 위원장을 맡으며 이날 정식 출범했다. 부위원장으로는 이상엽 KAIST 생명공학과 특훈교수가 위촉됐다. 위원회는 부위원장 포함 24명의 민간위원과 바이오 관계부처 장관,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등 12명의 정부위원으로 구성됐다.

최 권한대행은 1차 회의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선 새로운 경제 동력원으로 바이오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며 “국가바이오위원회를 범부처 최상위 거버넌스로 출범시켜 관계기관에서 개별 추진 중인 정책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보건·의료,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범부처 합동으로 글로벌 바이오 5대 강국 도약을 위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했다. 대전환을 위한 핵심 과제로 크게 ▶인프라 대전환 ▶R&D(연구개발) 대전환 ▶산업 대전환 방안을 도출했다. 먼저 인프라 대전환을 위해 전국에 흩어져 있는 20여 개 바이오 클러스터를 점검,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해 레드(보건·의료), 그린(농업·식품), 화이트(화학·에너지) 바이오 등 분야 간 융합을 촉진한다. 전 주기 규제를 개편하고 생성 AI(인공지능) 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도입해 산업의 안전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확보할 방침이다. 아울러 2027년까지 바이오 분야 인재 11만 명을 양성하고 AI 신약개발 등 분야별 전문 교육을 활성화 해 즉시 활용 가능한 우수 인력을 배출할 계획도 밝혔다.

10년 내 바이오 데이터 1000만 건 확보

R&D는 AI 기술 등 타 분야와 융합으로 혁신을 가속화 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정부는 우선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중심으로 15개 바이오 분야 공공연구기관 간 데이터의 전면 개방을 추진하고 향후 공공영역 전반으로 확대해 나간다. 이를 통해 국가바이오데이터플랫폼에 2035년까지 데이터 1000만 건을 확보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측은 “공공 부문에서 데이터로 댐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AI 신약 개발 등 민간이 활용할 수 있게끔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고용량 데이터 분석을 뒷받침할 바이오 전용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GPU 3000개 이상)도 확충할 계획이다.


산업 부문에서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바이오 기업들의 제품화 등을 지원해 바이오 산업을 반도체에 이은 대한민국의 대표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기술력은 있으나 생산설비가 없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을 위해 5개 공공 CDMO(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시설을 활용해 기술 제품화를 지원한다. 이에 더해 1조원 규모의 메가펀드를 조성하고 한도·금리우대 등 정책금융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최 권한대행은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신속히 도출하고 국가바이오위원회 지원단을 빠르게 출범시켜 밀착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