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의장은 이날 2월 임시국회 개회사에서 “국회가 민생의 깃발을 높이 들어야 한다”며 “지난 2개월 간 민주주의가 무너지는 위기감 속에 민생과 미래 의제에 대한 논의가 멈췄고, 그 시간을 만회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월 국회에서 ▶조기 추경 합의 ▶민생 입법 통과 ▶미래 성장동력 확충 등 세 가지를 해내자고 제안했다.
추경과 관련해 우 의장은 “우선 규모에 합의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머리를 맞대고 좁혀나가자”고 했다. 이날도 “즉시 추경하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야당과 “2025년 본 예산 보완 추경이 돼야한다”(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는 여당이 엇갈린 상황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다. 우 의장은 “여야 합의가 전제된 추경이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대한민국 경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보여줄 것”이라며 “추경을 편성해 경기를 부양하고 소비와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했다.
민생 입법과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방안으로 우 의장은 “반도체 특별법과 에너지 3법 등 미래 먹거리 산업 지원 법안을 신속하게 마무리 짓자”고 했다. 구체적인 민생 과제와 관련해서는 “티몬·위메프 사태 재발을 방지하고 건강한 플랫폼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입법, 12·19 제주 여객기 참사 특별법 제정과 피해자와 유가족에 대한 2차 가해를 방지하는 입법 등을 서둘러 달라”고 했다. 이 밖에도 우 의장은 “연금 특위, 기후 특위, 윤리 특위도 2월 국회에서 반드시 구성하자”고 요청했다.
한편 4일 국회는 여야 정책위의장, 국무조정실장, 국회의장 비서실장 등이 참여하는 ‘국회 정부 국정협의회’ 2차 실무회의를 연다. 우 의장은 이와 관련해서도 “가능한 한 이른 시일 안에 국정협의회 1차 회의를 열어 추경 편성 논의부터 시작하고, 민생경제 입법과 산업통상 이슈에 함께 대응해나가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