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현지시간)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선물한 책을 들고 있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9/6a3f5484-d611-406d-96a8-a879f8543c16.jpg)
지난 7일(현지시간)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선물한 책을 들고 있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일본의 올해 방위비는 역대 최대 규모인 8조 6691억엔(약 82조 5800억원)으로 GDP의 1.6% 수준이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전 총리 시절이던 2022년 3대 안보 문서 개정을 계기로 방위비를 GDP 대비 2% 수준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수립한 데 따른 결과다. 트럼프 1기 시절에는 GDP의 1% 수준의 방위비만 지출했던 일본이 보통국가화를 지향하는 내부 흐름과 트럼프와의 약속에 따라 방위비 증액에 속도를 더하는 모양새다.
이번 미·일 정상회담 결과는 한국에도 함의가 크다. 방위비 혹은 국방비 증가가 반드시 분담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고 볼 수는 없지만 트럼프는 꾸준히 동맹 방위에 있어서 미국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협상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9/41bdb790-799e-40a5-9e67-49a40c961114.jpg)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전문가들은 트럼프와 일찌감치 정상외교를 진행한 일본의 사례를 면밀히 참고해 향후 트럼프가 내밀 청구서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한국도 트럼프의 요구대로 주한미군 주둔이라는 특정 사안에 대해 값을 지불하는 대신 차라리 일본처럼 국방비를 증액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며 "다만 트럼프가 한국과 일본에 방위비 증액을 유도한 뒤 주한, 주일 미군의 역할을 축소할 수는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