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 특별법 당정 협의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현재 조기 대선이 있는지 없는지 아직 단정할 수 없다”며 “(인용시 출마는)대통령과 국민에게 예의가 아니고 제 양심에도 맞지 않는다”고 했다.
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과 탄핵에 대해선 “불행한 역사”라고 했다. 그는 ‘탄핵소추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돼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당연히 그렇게 생각한다”며 “대통령이 계속 탄핵되고 구속되는 건 국민 누구도 원하지 않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옥중 정치’ 논란을 일으킨 윤 대통령의 여당 의원 접견에 대해선 “1심도 안 나왔는데, 유죄로 추정해서 면회도 가지 않아야 한다는 이야기는 너무나 비인간적이고 가혹한 말씀”이라며 “면회하면 내란 동조가 되느냐”고 반문했다.
다만 김 장관은 12·3 계엄 선포에 대해 “제가 국무회의에 참석했다면 강력하게 반대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5일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정도의 어려움에 처했다”고 말해 계엄 옹호 논란을 초래한 것과 비교하면 분명히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계엄 선포를 심의한 국무회의에는 불참했고, 해제를 심의할 때만 참석했다. 김 장관은 ‘국무위원으로서 윤 대통령 면회를 갈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그런 계획이 없다”고 했다.
김 장관은 질의응답 내내 ‘상식’을 강조했다. 그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만들 때도 반대하는 집회에 참석했다가 벌금을 내기도 했다”며 “이번에 공수처 하는 것을 보면, 저는 상식적인 이야기를 했던 것”이라고 했다.
김 장관을 향한 여당 내 시선은 복합적이다. 공단 위장 취업에 나서며 노동운동을 이끌었다가 정계에 입문해 보수로 전향한 그를 두고 “스토리가 풍부한 사람”이라는 분위기도 있다. 다만 2020년 21대 총선을 앞두고 전광훈 목사와 자유통일당을 창당한 이력에 대해선 우려도 적지 않다. 영남권의 한 의원은 “계엄과 탄핵 사태서 결집한 보수층의 지지가 쏠린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은 중도와 수도권 확장성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