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메기효과? 서울시, ‘AI 테크시티’ 조성한다

서울시가 연면적 27만㎡ 규모의 서울 AI 테크시티를 조성한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연면적 27만㎡ 규모의 서울 AI 테크시티를 조성한다. [사진 서울시]

“연초부터 딥시크가 인공지능(AI) 산업계에 거대한 파문을 던지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가 미국·중국과 함께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서울 2025’에서 언급한 말이다. 그는 “인재 양성과 데이터 분야에서 우리만의 강점을 만든다면 새로운 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이날 행사에서 AI 산업 육성을 육성하기 위한 7대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서울시 AI 산업 육성 전략 발표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AI SEOUL 2025'에서 '글로벌 AI 혁신도시, 서울'을 주제로 비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AI SEOUL 2025'에서 '글로벌 AI 혁신도시, 서울'을 주제로 비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영국의 토터스 미디어가 발표한 ‘글로벌 AI 인덱스’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국가별 AI 순위에서 세계 6위권이다. 세부항목 중 인재(13위), 연구(13위), 벤처투자(12위) 분야의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다. 오 시장은 해당 항목을 개선해 “모든 산업을 AI 중심으로 재편한다”며 “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 오픈AI·딥시크 수준의 AI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인재를 양성한다. 급증하는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통해 4000명, 대학을 통해 6000명의 AI 인재를 각각 키워낸다는 목표다. 이들 중 60명은 올해부터 AI 등 이공계 분야 석사과정 장학금 제도를 총 6억원의 장학금을 받는다. 


서울시가 서울 서초구에 조성된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인 '서울 AI 허브'의 핵심 앵커시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서울 서초구에 조성된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인 '서울 AI 허브'의 핵심 앵커시설. [사진 서울시]

물리적 공간 인프라도 확충한다. 서울 강남구 양재동에 조성한 연면적 2만7000㎡의 AI 허브를 확장해 연면적 27만㎡ 규모의 ‘서울 AI 테크 시티’를 조성한다. 2028년 착공이 목표인 AI 테크 시티는 국내·외 대학원과 세계적인 연구기관을 유치하고, 문화·주거공간까지 갖출 계획이다.

서울시 주도로 2026년까지 5000억원 규모의 AI 펀드도 조성한다. 딥시크 같은 생성형 AI 모델 학습·추론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컴퓨팅 자원 확보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더불어 AI 산업을 다른 산업과 융·복합해 저변을 확대한다. 구체적으로 서울 미래 4대 핵심 산업(AI·바이오·로봇·핀테크)과 서울 전략 산업(디자인·뷰티·패션)을 묶어 AI 패러다임 전환을 유도한다는 목표다.


AI 인재 매년 1만명 양성 

서울시가 서울 서초구에 조성된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 '서울 AI 허브' 내부 네트워킹 공간 전경.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서울 서초구에 조성된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 '서울 AI 허브' 내부 네트워킹 공간 전경. [사진 서울시]

MS·구글 등 글로벌 빅 테크 기업이나 독일 프라운호퍼·사이버밸리연구소, 캐나다 이바도연구소, 인도 델리공과대 등 해외 유수 기업·연구소·대학과 협력도 강화한다.  

더불어 스마트라이프위크(SLW)·서울AI페스타 등 AI로 변화하는 도시의 모습을 보여주는 시민 참여형 행사를 정례화하고, 서울시정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한 행정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디지털재단은서울AI재단으로 개편한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제리 카플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기조 강연자로 나서 생성형 AI가 유발할 변화에 관해 설명했다. 그는 “향후 수년에서 수십년에 걸쳐 기술적 개선·적응은 필요할 것”이라며 “결국 생성형 AI는 기술적 진보를 넘어서 사회 전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오세훈 시장은 “미래 첨단산업의 초점이 AI로 모인 상황에서 AI 기업이 과감한 투자·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AI 비전을 마련했다”며 “AI 중심으로 모든 산업을 육성·재편하고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3대 강국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