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편관세 적용되면 한국 중소기업 수출 11.3% 감소"

중소벤처기업부는 12일 기술보증기금 서울지점에서 열린 미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응, 중소기업 지원 간담회를 열었다. 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12일 기술보증기금 서울지점에서 열린 미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응, 중소기업 지원 간담회를 열었다. 연합뉴스

 

 
미국의 보편 관세 정책이 본격화하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이 최대 1조2000억원 감소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김정현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벤처기업부가 12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연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응, 중소기업 지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진행되는 미국 관세 정책의 가장 유사한 시나리오로 캐나다와 멕시코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그 외 국가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를 가정했다.

이어 이 시나리오가 시행되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은 지금보다 최대 11.3%(1조2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다음 달 12일부터는 수출국을 불문하고 모든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미국의 관세 적용을 우려하는 수출 중소기업들의 사례도 소개됐다.

중국산 원료로 항공우주용 특수물질을 생산해 미국 항공우주·위성사업 업체에 납품하는 동인화학은 미국이 중국산 원료 사용을 금지할 경우 생산과 수출에 막대한 어려움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패널 생산 업체 아이델은 미국이 멕시코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 수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을 호소했다. 아이델은 멕시코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한다.

알루미늄 압연기술로 식품, 의약품, 산업용 포장지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일진알텍은 미국이 다음 달 12일부터 모든 국가의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수출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중기부는 수출 중소기업이 당면한 이 같은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중기부는 전국 13개 지방청에 애로 신고센터를 설치해 고관세, 고환율, 공급망 재편에 따른 영향 등 수출 중소기업 피해를 접수할 계획이다.

또 수출 중소기업에 긴급 경영안정자금 등 정책 금융을 지원하고 위기가 심화하면 추가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등 통상 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관계 부처와 공동 대응하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높일 지원 대책을 이달 내로 내놓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