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금지법 유예, 연장 가능”…중국에 매각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상호 무역과 관세’(Reciprocal Trade and Tariffs)라는 이름의 각서에 서명한 뒤 문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상호 무역과 관세’(Reciprocal Trade and Tariffs)라는 이름의 각서에 서명한 뒤 문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이 내린 ‘틱톡 금지법 시행 유예’ 행정명령이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를 향해 틱톡 매각을 승인하라는 우회적인 압박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상호관세 관련 각서에 서명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유지를 위해 (매각) 거래가 성사되기를 여전히 희망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유예 기간이) 연장될 수도 있지만, 지켜보자”며 “아마 연장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이번 발언이 틱톡 매각과 관련이 있는지 등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중국이 틱톡 매각을 승인하는 것은 가치 있는(worthwhile) 일일 것”이라며 “이 거래가 성사되는 것이 중국에 이롭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를 향해 틱톡 매각을 승인하라는 우회적인 압박이다.

틱톡의 미국 서비스는 지난달 18일부터 약 하루 동안 이용이 불가했다. 지난해 4월 국가안보 위협 우려를 들어 미 의회가 통과시킨 틱톡 금지법을 우려한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서비스를 중단했기 때문이다. 틱톡 금지법은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틱톡 사업권을 지난달 19일까지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를 금지하도록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하자마자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틱톡 서비스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했다. 틱톡 금지법에 매각과 관련한 ‘중대 진전’이 있을 경우 매각 시한을 90일 연장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을 활용했다. 이에 바이트댄스도 서비스를 재개했다.


틱톡 매각에 대해 현재 여러 미국 기업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달 26일 CNBC 방송은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AI’가 틱톡과 합병을 추진하면서 지분 절반을 미국 정부에 넘기는 안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MS)가 틱톡 인수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직접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최근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면서 이 펀드가 틱톡을 인수할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하지만 바이트댄스 측은 아직 공식적으로 틱톡 미국 사업권 매각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