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일자리 2013년 이후 가장 많이 줄었다...청년고용률도 9개월째 감소

기자
김원 기자 사진 김원 기자
청년·건설업 '고용 한파'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지난달 정부의 공공근로 등 직접 일자리 사업이 재개되면서 취업자가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제조업·건설업 중심으로 고용 부진은 계속됐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경기 불황 여파로 2013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제조업 일자리도 반년 넘게 감소세가 이어졌다. 14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정보 게시판 앞에 건설기계정비학원 안내문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청년·건설업 '고용 한파'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지난달 정부의 공공근로 등 직접 일자리 사업이 재개되면서 취업자가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제조업·건설업 중심으로 고용 부진은 계속됐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경기 불황 여파로 2013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제조업 일자리도 반년 넘게 감소세가 이어졌다. 14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정보 게시판 앞에 건설기계정비학원 안내문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건설 일자리 경기가 12년 만에 최악으로 얼어붙었다. 청년 취업자 수도 크게 줄었다. 14일 통계청 ‘1월 고용동향’이 보여준 일자리 기상도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87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5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줄었던 일자리(-5만2000명)가 한 달 만에 다시 늘었지만, 정부가 하는 공공근로 사업 영향이 컸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보건복지ㆍ공공행정 취업자가 줄었던 것이 직접ㆍ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되면서 회복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보건업ㆍ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1만9000명 늘었다. 

전문과학ㆍ기술서비스업(9만8000명), 정보통신업(8만1000명) 등 취업자도 증가했다. 설 연휴 기간이 당겨지면서(지난해 2월→올해 1월) 명절 전 성수품 구매 등이 늘었고, 서비스업 일자리 증가 폭이 따라 커졌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악성 미분양 11개월만 최대…고용은 물론 성장률 직격탄

하지만 제조업·건설업 고용 부진은 더욱 심각해졌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5만6000명 줄었다. 반도체 수출 호황도 소용없었다. 지난해 7월부터 7개월째 감소세다.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000명 줄었는데, 2013년 통계 개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온 건설 경기 불황으로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 수는 9개월째 쪼그라들고 있다.  

건설 경기는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아파트 미분양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총 7만173가구로 11월(6만5146가구)보다 7.7%(5027가구) 증가했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2만1480가구로 한 달 새 15.2%(2836가구) 급증했다. 이는 2013년 12월(2만1751가구)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다.  


고금리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구조조정 등으로 자금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건설업 경기는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자잿값ㆍ인건비 상승으로 비용 부담도 커졌다. 자금 회수(미분양)까지 막히면서 경기 악순환은 2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부도가 난 건설업체는 총 29곳으로 2023년(21곳)보다 늘었다. 2019년(49곳) 이후 가장 많았다. 자금난에 공사를 중단한 현장도 최근 늘고 있다.  

건설업 불황은 고용시장은 물론 경제 전반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해 국내 건설투자액은 298조원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줄어든 건설투자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4%포인트 낮추는 효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건설투자는 GDP의 약 15%를 차지한다. 한국 경제를 지탱하는 한 축인 건설 산업이 가라앉으면서 일자리 경기까지 끌어내리는 중이다. 기획재정부는 “올 1분기 중 사회간접자본(SOC) 예산(7조원)과 공공기관 투자(17조원) 등의 신속 집행을 통해 건설 경기를 보강하고, 건설업 일자리도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건설 시장 추락을 막기엔 역부족이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생산연령인구 감소 올해부터 본격 영향”

청년층 일자리 한파도 심각하다. 15∼29세 취업자는 1년 전보다 21만8000명 줄었다. 2021년 1월(-31만4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달 청년 고용률은 44.8%로 1년 전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전년 대비 9개월 연속 감소세다.  

청년층 인구 감소, 경력ㆍ수시 채용 중심으로 바뀐 취업 시장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기재부는 “생산연령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취업자 수 증가를 제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이날 민생경제점검회에서 경제 6단체와 일자리 창출 협약을 맺었다. 최 권한대행은 “중앙정부, 지자체 직접일자리는 신속 채용을 통해 1분기까지 역대 최대 수준인 120만개 이상을 창출하겠다”고 했다. 경제 6단체도 “올해 채용 규모를 늘리고, 채용 시기도 상반기로 앞당기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공공기관 신규채용을 지난해 2만 명에서 올해 2만4000명으로 확대하고, 청년 선호 장기 인턴 비중도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다음 달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민관 합동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를 개최해 청년층 취업 분위기를 확산해 나가기로 했다. 최 권한대행은 “민생경제 반전의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과 힘을 합쳐 좋은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만드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