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인근 화환 2810개 치웠다…앞으로는 과태료 물 수도

지난해 12월 11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앞에 윤석열 대통령 지지 화환이 놓여있는 모습.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지난해 12월 11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앞에 윤석열 대통령 지지 화환이 놓여있는 모습.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는 지난 13일 대통령 집무실 앞 화환 약 80개를 철거한 것을 끝으로 이태원로, 한남동 등 인도·도로변의 화환 약 2810개에 대한 정비를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탄핵 정국이 시작된 지난해 말 대통령실 주변을 시작으로 설치된 이들 화환에 대해 구는 구체적 처리 규정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

구 관계자는 “화환을 단순 노상적치물로 볼 것인지, 정치적 의사표시를 담은 광고물로 볼 것인지 불분명했다”며 “자치구별 처리 방식과 법률 자문 결과도 일관되지 않아 검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구는 지난해 12월 말 법률자문과 다른 자치구 사례 검토를 거쳐 화환을 입간판에 준하는 유동광고물로 처리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화환 철거 대집행을 위한 법률검토에 착수했다.

구는 “철거 대집행 검토 과정에서 대집행 공시송달 후 폐기물 업체를 통해 일괄 처리하는 것을 검토했지만 처리 절차 지연, 철거작업 중 충돌 가능성 등을 고려해 당시 화환을 관리하던 현장 자원봉사자 측이 자진정비하는 것으로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심하게 파손돼 보행 안전을 위협하는 화환에 대해서는 구가 선제적으로 수거했다.

구는 향후 유사 사례가 발생할 경우 처리 방법을 고민 중이다. 화환 즉각 수거 후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안 등이 검토 대상이다.

박희영 구청장은 “전례 없던 상황을 행정적으로 처리하는 데 허점이 없도록 꼼꼼히 검토해 처리를 마쳤다”며 “화환으로 인해 어떠한 사고도 발생하지 않고 구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관련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용산구 내 화환 정비 전후 모습. 사진 용산구

용산구 내 화환 정비 전후 모습. 사진 용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