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올리브영 명동점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과 쇼핑객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뉴스1
미국 하버드 경영대학원 수업에서 CJ올리브영의 사업모델이 경영 혁신 사례로 소개됐다. 회사 측은 K뷰티 유통채널로서 중소 화장품 업체와 협업하고, 유망한 신진 브랜드를 발굴·육성하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한 것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16일 CJ올리브영에 따르면 하버드 경영대학원은 지난 11일(현지시간) 경영전문석사(MBA) 2년 차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경영 혁신 수업에서 올리브영의 사례를 놓고 토론을 진행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학생들이 올리브영의 핵심 역량을 짚어보고 미국 시장 진출 방식에 관해 토론을 벌였다”며 “수업에 참여한 학생 중 30%가량이 올리브영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밝히는 등 관심이 뜨거웠다”고 말했다.
올리브영에 대한 사례 연구는 향후 하버드 경영대학원 소유 월간 경영학 잡지사인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통해 출판 예정이다. 사례 연구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레베카 카프 교수와 슈 린 연구원이 공동 집필했으며 ‘올리브영: 뷰티 혁신을 창출하다’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올리브영이 소비자에게 뷰티 브랜드를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유행을 제시하는 채널로 자리매김해 한국의 뷰티 생태계 형성과 글로벌 K뷰티 유행에 크게 기여했다는 내용이다.
교재에서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경영 철학도 소개했다. ‘각 사업에서 선두 주자, 혹은 최고가 되거나 독보적인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는 CJ그룹의 ‘온리원 정신’이 올리브영의 성장 배경이 됐다는 설명이다. 이 회장이 강조한 내용 중 ‘유통사는 상생 기반의 장기적 파트너십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부분도 소개됐다.
CJ올리브영 측은 “올해 하버드 경영대학원과 협업해 K뷰티 관련 프로그램을 추가 실행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