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전력 열세 딛고 정규리그 우승...역대 최다 15번째

우승을 솩정하고 기뻐하는 우리은행 선수들(오른쪽). 연합뉴스

우승을 솩정하고 기뻐하는 우리은행 선수들(오른쪽). 연합뉴스

여자프로농구 아산 우리은행이 전력 열세를 딛고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위성우 감독이 이끄는 우리은행은 16일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2024~25시즌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원정 경기에서 청주 KB를 46-44로 물리쳤다. 이날 승리로 21승 8패를 기록한 우리은행은 2위 부산 BNK(18승 10패)와 격차를 2.5경기로 벌리며 남은 최종전 결과와 상관없이 우승을 확정했다. 우리은행이 정규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건 2022~23시즌에 이어 2년 만이자, 역대 최다인 통산 15번째다. 우승 상금은 5000만원이다.

지난 시즌 리그 2위에 오른 뒤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차지한 우리은행은 이번 시즌 개막을 앞두고는 우승은커녕 PO도 장담할 수 없는 전력이었다. 지난 시즌 우승 후 사실상 '공중분해'에 가까운 전력 누수를 겪었기 때문이다. 박지현(마요르카), 박혜진(BNK), 나윤정(KB·이상 가드), 최이샘(신한은행·포워드) 등 주전급 선수들이 경쟁 팀으로 이적했다. 에이스 김단비(포워드)만 남았다. 우리은행의 반전 드라마를 이끈 위성우 감독의 마법 같은 '운영 능력'과 '리더십'이었다. 위 감독은 선수 영입부터 비시즌 훈련 그리고 완벽한 리그 운영으로 열세를 뒤엎었다. 

센터 없이 가드 중심의 빠른 농구를 펼치던 우리은행 위성우 감독은 심성영(전 KB·가드)과 한엄지(전 BNK·포워드)를 급하게 데려왔다. 아시아 쿼터 선수로는 스나가와 나츠키, 미야사카 모모나(이상 일본·가드)를 데려왔다. 모두 한일 리그에서 '한물갔다'는 평가를 받고 식스맨(후보)으로 밀린 선수들이었다. 위 감독은 개막 전 "즉시 전력감은 이적 시장에서 데려오는 것이 어렵다. 대신 재기 가능성이 있는 선수들을 찾아 능력을 끌어내는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반전을 쓴 우리은행 위성우 감독. 연합뉴스

반전을 쓴 우리은행 위성우 감독. 연합뉴스

그의 분석은 적중했다. 비시즌 위 감독의 '지옥 훈련'을 견디고 우리은행 특유의 '우승 DNA'를 이식받은 이적생들은 시작이 시작되자 전성기 시절 실력을 뽐냈다. 김단비는 22.2득점, 11.1리바운드, 스틸 2.2개, 블록슛 1.5개, 공헌도 931.1점(이상 전체 1위·15일 기준) 등 공·수 주요 부문에서 선두를 휩쓸며 리더 역할을 톡톡히 했다. 부상과 체력 저하가 두드러졌던 후반기에는 신인 이민지를 기용해 공백을 메우는 위 감독의 용병술이 다시 한번 빛을 봤다. 이민지는 최근 9경기에서 평균 12득점으로 김단비를 지원사격 하는 '괴물 신인'으로 떠올랐다. 


덕분에 시즌 중반까지 2~3위를 오가던 우리은행은 막판에 BNK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다. 우리은행은 최근 9경기에서 8승 1패를 거두는 집중력을 발휘하며 우승을 굳혔다. 위 감독은 "그동안 좋은 멤버 덕에 편하게 감독을 했다. 선수들이 대거 이적하면서 시련이 왔는데, 정말 힘들었다. 김단비를 중심으로 선수들이 믿고 따라와 줘서 고맙다"고 말했다. 위 감독과 우리은행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PO에 진출한 우리은행은 통산 11번째 통합(정규리그+챔피언전) 우승에 도전한다. 
피주영 기자 akapj@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