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회동하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전민규 기자
김 전 지사는 16일 MBN '정운갑의 집중분석'에 출연해 지난 1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회동 때 의논했던 내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회동 때 이 내용은 충분히 설명해 드렸고, 이 대표도 ‘잘 검토해보겠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김 전 지사는 “2017년 탄핵 촛불혁명으로 집권한 문재인 전 대통령도 야당과 협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해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유승민 전 의원, 정의당 노회찬·심상정 전 의원, 국민의당 김성식 전 의원에게까지도 내각 참여를 제안했으나, 하나도 성사가 안 됐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지금 와서 보면 그런 방식으로는 연대와 협치가 우리 정치문화에서 쉽지 않겠다”며 “그런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이번에는 정권이 바뀔 경우 구성될 인수위 같은 기구에 탄핵 찬성 세력은 다 같이 참여해 정책을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자신의 ‘2단계 개헌론’에 대해 이 대표가 “탄핵과 내란 극복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한 것에는 “이 대표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시는 불법 계엄이 없도록 하는 개헌을 대선과 동시에 치르는 국민투표로 추진해야 하지 않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여기에 한 가지 추가한다면 대통령실의 문제가 있다”며 용산의 대통령실 이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전 지사는“(대선 후) 대통령실이 다시 청와대로 가기도 애매하다”며 “장기적으로 보자면 세종시로 행정수도를 완전히 이전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게 맞지 않겠는가”라고 제안했다.
한편 방송 이후 정의당은 ’문 전 대통령이 노회찬·심상정 전 의원에게 내각 참여를 제안했으나 성사가 안됐다’는 는 김 전 지사의 발언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정의당은 “문재인 정부 측으로부터 내각 참여에 대한 그 어떤 제안도 받은 적이 없다”며 유감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