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오후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에서 열린 의사 전문의 자격시험에서 응시자들이 시험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7/5d065325-e76e-43a1-90f1-b86541a29029.jpg)
지난 14일 오후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에서 열린 의사 전문의 자격시험에서 응시자들이 시험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올해 전문의 자격시험(1차)에 500명이 합격했다. 통상 매년 2800여명의 전문의가 배출되던 것을 고려하면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의정갈등 여파로 신규 의사 배출이 줄어든 데 이어 전문의 감소도 현실로 나타났다.
17일 대한의학회가 발표한 2025년도 제68차 전문의 자격시험 1차시험 결과, 534명의 응시자 중 500명이 합격했다. 합격률은 93.6%다. 전문의는 전공의(인턴·레지던트) 과정을 거친 후 자격시험에 합격해 전문과목에 대한 자격을 인정받은 의사를 말한다.
올해 1차시험의 과목별 합격자는 내과가 83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정의학과(82명), 정형외과(52명), 정신건강의학과(39명), 응급의학과(26명), 소아청소년과(24명) 등이 뒤를 이었다. 그 외 생명과 직결된 필수 과목으로 꼽히는 외과는 18명이었고, 산부인과 12명, 심장혈관흉부외과 6명 등에 불과했다.
최근 몇년간 2800~3000명의 전문의가 매년 배출돼왔으나, 올해는 정부의 의대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지난해 집단사직하면서 전문의 시험 응시자 및 합격자도 급감했다. 올해 1차 합격자는 지난해 1차 합격자(2718명)의 18.4%에 불과하다. 과별로 보면 지난해 1차시험에서 내과 537명, 외과 149명, 소아청소년과 131명, 산부인과 113명 등이었던 것에 비해 모두 크게 감소했다.
2차 시험까지 거친 최종 합격자는 오는 24일 발표된다. 통상 1차 합격자의 99%가 2차에도 합격하는 것을 고려하면 최종 합격자 숫자도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달 발표된 의사 국가시험 결과 지난해의 8%에 불과한 269명이 합격해 신규 의사 배출 절벽은 현실화됐다. 여기에 전문의 배출도 크게 줄면서 의료현장 인력난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