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심판 결론에 앞서 하야 등의 거취 결정을 내릴 가능성과 관련해 "그런 것은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고려하고 있더라도 옳은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오면 찬성·반대파가 충돌할 수 있어 윤 대통령이 정치적 해법으로서 스스로 거취를 표명하는 것이 어떠냐는 의견이 있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하야가 법률적·헌법적으로 가능하냐를 별개로 해도, 하야했을 경우 이런 모든 문제를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적절치 않다"고 언급했다.
이어 "(윤 대통령) 변호인단이 '중대 결심을 할 수 있다'고 말했는데, 하야를 포함한 부분은 대통령의 결심이지, 변호인단이 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권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에 대해 "분명히 잘못된 과도한 조치였다"며 "민주당의 무도한 행태들을 감안하더라도 비상계엄으로 대처하는 것은 옳지 못한 태도였다"고 밝혔다.
계엄 조치의 위헌 여부에 대해선 "헌법재판소에서 시비가 계속되는 중에 제가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권 위원장은 또 '계엄 당일 표결에 불참했는데 국회에 있었다면 참여했겠느냐'고 묻자 "당사로 가서 표결을 지켜봤는데, 제가 국회 현장에 있었더라도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그 이유로 "우리 모두가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봐야 하기 때문"이라며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얘기 못 하는 이유가 있는지 이런 부분을 특히 여당이라면 책임 있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발표된 게 다라면 우리도 반대 입장을 표시할 수밖에 없지만 아직 그게 도대체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조건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은 행동을 한다는 것은 여당으로서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동훈 전 대표가 저랑 똑같은 정보만 가지고 있었을 텐데 곧바로 '위헌이고 위법'이라고 얘기한 건 성급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