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살해전 '범행 도구' 검색하고 '살인 기사' 읽었다…"계획범죄 무게"

지난 10일 대전에서 발생한 고(故) 김하늘(8)양 사건 가해 교사는 범행 전 인터넷에서 범행 도구와 과거 발생한 살인사건 기사를 검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1일 초등생 1학년 여아가 살해당한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서 학부모가 어린 자녀와 함께 사망한 김하늘 양을 위해 추모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1일 초등생 1학년 여아가 살해당한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서 학부모가 어린 자녀와 함께 사망한 김하늘 양을 위해 추모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경찰청은 A씨(40대)의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을 분석한 결과, 사건 발생을 며칠 전부터 자신의 컴퓨터 등을 통해 여러 차례 범행도구를 검색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그가 검색한 범행도구는 이번 사건 때 그가 실제로 사용했던 흉기로 알려졌다. A씨는 같은 기간 포털사이트에서 살인 사건 관련 기사를 여러 건을 검색한 것으로도 조사됐다.

살해에 사용한 흉기 여러 차례 검색

경찰은 사건 직후 피의자인 A씨의 범행 동기와 계획적인 범죄 여부 등을 조사하기 위해 그가 사용하던 컴퓨터와 휴대전화 등을 압수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했다. 사건 발생 열흘이 지난 가운데 A씨에 대한 대면조사가 난항을 겪자 경찰은 범행의 계획성에 중점을 두고 관련 수사를 이어왔다. 특히 범행 동기를 밝히기 위해 프로파일러 5명을 투입, 범행 당시와 사건 발생 이전의 A씨 심리 상태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 중이다.

지난 18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과 설동호 대전시교육감이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고 김하늘 양을 추모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8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과 설동호 대전시교육감이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고 김하늘 양을 추모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뉴스1

하지만 A씨에 대한 대면조사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수사 장기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사건 직후 자해를 시도한 A씨는 대전의 한 대학병원에서 응급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지만 여전히 산소호흡기를 착용하고 있다. 경찰은 A씨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며 조사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의료진의 동의가 없이는 추가 조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회복 중인 A씨는 경찰은 물론 가족의 면회조차 제한되고 있다. 안정이 필요하다는 의료진의 판단 때문이다.

가해 교사 산소마스크 착용 대면조사 어려워

경찰이 A씨로부터 직접 진술을 받은 건 수술 전 자신의 범행을 인정하는 취지의 답변이 전부다. 당시 A씨는 “복직 후 수업에 들어가지 못하게 해 짜증이 났다. 어떤 아이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겠다”는 생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지난 10일 발생한 김하늘양 피살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가해 교사가 범행 전 인터넷을 통해 범행 도구와 살인사건 관련 기사를 검색했던 사실을 확인했다. 신진호 기자

지난 10일 발생한 김하늘양 피살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가해 교사가 범행 전 인터넷을 통해 범행 도구와 살인사건 관련 기사를 검색했던 사실을 확인했다. 신진호 기자

경찰은 A씨가 근무하는 학교의 동료 교사와 교장·교감, 가족 등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를 마쳤다. A씨의 병원 진료 기록은 물론 가정과 직장, 사회생활 등 모든 부분으로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경찰은 김하늘양 사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만큼 A씨에 대한 대면조사가 이뤄지기 전이라도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경찰 "범행 동기 등 신속하게 밝힐 것"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확인한 포렌식 분석과 수사 과정에서 밝혀진 범행 도구 준비 과정 등을 종합하면 계획적인 범행에 무게가 실린다”며 “범행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부분을 조사, 신속하게 동기를 밝히겠다”고 말했다.

한편 설동도 대전교육감은 지난 18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김하늘양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과 대전시민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설 교육감이 김양 사건이 발생한 뒤 공식 사과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