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수·합병(M&A)를 통해 2차 전지 신산업에 진출할 거란 정보를 흘리고 리딩방 등에서 주가를 띄웠다가 적발된 M&A 업자. 금융위원회
CB는 주식으로도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이다.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이후 기업 가치가 오르면 주식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금 조달 능력이 부족한 기업이 많이 활용한다. 하지만 주로 공개 모집(공모)이 아닌 사모 형태로 발행해 유통 과정이 불투명한 만큼 불공정거래 행위에 악용되는 사례도 많다.
금융당국이 최근 단속한 사례도 이런 불투명한 CB 발행 과정을 악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C사의 실질적인 사주인 D씨는 미국의 한 비상장사를 인수할 자금이 필요하다며 CB를 대량으로 발행했다. 그러면서 인수할 회사가 대마 사업 관련 계약을 따내고 미국 나스닥에도 상장할 거란 허위 정보를 흘려 지분 가치를 부풀렸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조사한 결과 해당 정보는 거짓으로 드러났다. D씨는 CB로 조달한 자금 일부를 개인 빚을 갚거나 담보로 써 검찰에 고발됐다.

악재성 미공개 정보를 CB를 산 일반 투자자에 미리 알려준 기업 대표. 금융위원회
한편 조심협은 지난 4일 개설한 대체거래소를 악용한 불공정거래를 막기 위해 새로운 모니터링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다음 달 23일부터 개정 자본시장법이 적용되면서, 불공정거래와 불법 공매도 행위자에게 최장 5년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제한 명령도 내릴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법과 원칙에 따라 불공정거래에 대해 엄중히 제재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