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기대수명은 OECD 5위…흡연∙음주는 더 늘었다

지난 2023년 기준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81.0년)보다 2.5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 종로구의 한 흡연구역. 뉴스1

지난해 서울 종로구의 한 흡연구역. 뉴스1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민의 기대수명은 전년 대비 0.8년 늘었다. 기대수명은 2000년(76.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 2022년 소폭 감소(83.6년→82.7년)했으나 다시 방향을 틀었다. OECD 회원국 중 5위로, 1위인 스위스(84.2년)보다 0.7년가량 낮다.

기대수명은 0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가리킨다. 통계청 관계자는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다 건강검진 체계가 잘 갖춰진 점도 기대수명 증가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 차이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로 2000년에는 7.4년이었으나 2023년에는 5.8년까지 좁혀졌다.

2022년 악성신생물(암) 유병률은 인구 10만명당 1953명으로 전년보다 77명 증가했다. 남자는 전립선암∙위암, 여자는 유방암∙갑상선암 순으로 유병률이 높았다. 흡연율과 음주율은 모두 상승했다. 2023년 기준 19세 이상 인구의 흡연율은 18.5%로 전년보다 1.6%포인트 높아졌다. 음주율도 55.1%로 1.1%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48.9%)과 건강 식생활 실천율(49.2%) 모두 전년보다 소폭 하락했다.

교육 부문에서는 사교육 참여율과 사교육비가 모두 증가했다. 초중고 전체 사교육 참여율은 2024년 80.0%로 처음 80%대에 진입했다. 10년 새 11.4%포인트나 증가했다. 최근 들어서도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잠깐 줄었다가 2021년부터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다. 


초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이 87.7%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은 78%, 고등학생은 67.3%였다. 사교육 참여율은 모든 소득 수준에서 전년보다 증가했는데 특히 월 소득이 많은 가구에서 사교육비 증가 폭이 컸다.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4000원으로 전년보다 9.3% 증가했다. 사교육 미참여자까지 포함한 수치이기 때문에, 실제 사교육 참여자가 쓰는 돈은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국민은 여러 사회 갈등 중에서 ‘보수와 진보’ 간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봤다. ‘빈곤층과 중상층’, ‘근로자와 고용주’ 간 갈등이 뒤를 이었다. 고립감을 느끼는 이들도 많아졌다. 19세 이상 국민 중 ‘외롭다’고 느낀 사람의 비중은 21.1%로 전년보다 2.6%포인트 증가했다. ‘외롭다’고 느끼는 비중은 60세 이상에서,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끼는 비중은 40대에서 가장 높았다.

2024년 총인구는 5175만명이었다. 0∼14세가 549만명(10.6%), 15∼64세는 3633만명(70.2%), 65세 이상은 994만명(19.2%)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2072년 총인구가 3622만명으로 줄고,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47.7%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가구원수 별로는 1인 가구 비중이 35.5%로 가장 컸고, 2인 가구(28.8%)가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