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비서실장인 정진욱 의원이 1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이 지정된 이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민주당은 당분간 대외적으로 신중 모드를 유지하기로 했다. “자칫 기각이나 각하가 되면 안 되니 끝까지 예의주시해야 한다”(지도부 관계자)는 이유에서다. 민주당은 소속 의원 전원에게 4일까지 국회 내 비상대기를 지시했다. 광화문 천막당사도 일단 유지하기로 했다. 원내지도부는 별도로 “헌재 선고일까지 SNS와 언론 인터뷰에서 신중하고 절제된 언행을 해달라”고 공지했다. 민주당 초선 의원들은 2일 예정했던 탄핵 관련 토론회를 취소했고, 대신 철야농성을 국회 경내에서 진행키로 했다. 국회 탄핵소추위원들은 법제사법위원장실에서 따로 모였다. 간사인 최기상 민주당 의원은 “회의에선 ‘8대 0 인용’이라는 관측이 많았다”고 전했다.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정청래 국회 법사위원장이 이원구 변호사와 이야기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최상목 경제부총리에 대한 탄핵소추를 다시 밀어붙이려던 원내지도부는 잠시 숨을 고르는 분위기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 앞 기자회견에서 “한 대행과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은 전략적으로 판단해 국민의 마음에 부합하는 결정을 내리겠다”고 했다. 야 5당이 지난달 21일 발의한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은 자진 철회하지 않을 경우 2일로 예정된 본회의에 자동 보고된다. 표결은 보고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하면 된다. 지도부 의원은 “최 대행 탄핵은 강경론과 신중론이 맞서 유동적”이라고 전했다. 다만 한 대행과 관련해선 “중대 결심이라고 얘기했지 ‘재탄핵’을 하겠다고 한 적 없다”(조승래 수석대변인)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