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 프사 놀이' 열풍 엄청나네…챗GPT 이용자 5억명 넘었다 [팩플]

챗GPT 가입자가 지난달 말 기준 5억 명을 돌파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챗GPT 가입자가 지난달 말 기준 5억 명을 돌파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챗 GPT 가입자 수가 5억명을 돌파하는 등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달 말 선보인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에 추가된 특정 애니메이션 제작사·만화가 화풍 이미지 수정 기능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다.

무슨 일이야

1일(현지시간) 오픈AI는 지난달 말 기준 챗GPT 가입자가 5억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2022년 11월 챗GPT 첫 출시 후 2년 4개월 만이다. 5억 명은 오픈AI가 올해 연말까지 목표로 하는 가입자 수 10억 명의 절반이다.

왜 중요해

최근 가입자 증가 속도가 빠르게 늘었다.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31일 X(옛 트위터)에 “지난 한 시간 동안 100만 명의 사용자가 추가됐다”며 “챗GPT 출시 초기 100만 명 달성에 5일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속도”라고 적었다.

이게 왜 늘었어

실제 챗GPT 가입자 수는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3억 5000만 명이었는데 석달만에 1억 5000만 명이 늘었다. 가입자 수 증가의 가장 큰 원동력은 지난달 25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다. 대표 AI 모델인 챗GPT-4o의 텍스트 이해 능력에 고급 이미지 생성 기능을 더해 보다 정교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게 했다. 특히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을 지브리·심슨·디즈니·픽사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변환해 주는 기능이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올트먼 CEO는 지난달 27일과 30일, X에 “오픈AI의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우리 팀이 좀 자야 한다. 제발 이미지 생성 좀 자제해 달라”고 말했을 정도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 교체한 자신의 소셜미디어 프로필 사진(우측). '챗GPT-4o 이미지 제너레이션' 모델을 통해 실제 사진을 지브리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생성한 이미지다. 사진 AFP=연합뉴스, X

샘 올트먼 오픈AI CEO 교체한 자신의 소셜미디어 프로필 사진(우측). '챗GPT-4o 이미지 제너레이션' 모델을 통해 실제 사진을 지브리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생성한 이미지다. 사진 AFP=연합뉴스, X

오픈AI가 올들어 새 AI 모델과 서비스를 꾸준히 출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오픈AI는 지난 1월 고급 추론이 가능한 소형 모델 ‘o3 mini(미니)’를 출시했고, 2월에는 최신 AI 모델 ‘GPT-4.5’를 리서치용 미리보기 방식으로 내놨다.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 복잡한 연구 작업을 수행하는 ‘딥리서치’ 등 다양한 버티컬 AI 서비스도 공개했다.


다음 스텝은

오픈AI는 지난달 31일 400억 달러(약 59조원)의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이 회사 역대 최대 규모다. 이번 투자 유치로 오픈AI의 기업 가치는 지난해 10월 1570억 달러에서 5개월 만에 2배가량 증가해 3000억 달러(약 442조원)로 평가됐다. 오픈AI는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대규모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사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오픈AI는 지난 1월 소프트뱅크, 오라클과 함께 합작사 스타게이트를 설립해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를 미국 내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시설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오픈AI는 지난달 31일 우리 돈 59조원 상당의 투자를 유치했다. 오픈AI 역대 최대치다. AP=연합뉴스

오픈AI는 지난달 31일 우리 돈 59조원 상당의 투자를 유치했다. 오픈AI 역대 최대치다. AP=연합뉴스

 
개방형 AI 모델 개발을 통해 생태계 저변을 넓히는 데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투자 마무리를 발표한 올트먼 CEO는 “수개월 내에 추론 기능을 갖춘 ‘오픈웨이트(open-weight)’ 모델을 출시하겠다”고 예고했다. 오픈웨이트는 AI 모델의 구조와 가중치(웨이트: 데이터 처리에서 각 요소가 결과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결정하는 숫자 값)를 일부 공개하는 반(半)개방형을 지향한다. AI 모델의 구조, 가중치, 데이터 등을 전혀 공개하지 않는 기존 폐쇄형 모델과 프로그램 설계도를 완전히 공개하는 오픈소스 모델의 중간 지점이다. 오픈AI는 2019년 GPT-2를 마지막으로 폐쇄형 모델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오픈소스 방식을 채택한 중국 AI 기업 딥시크의 저비용·고성능 AI 모델이 주목받으면서 전략을 선회했다. 올트먼 CEO는 지난 1월 "우리가 (오픈소스와 관련해)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며 AI 모델 관련 기술 일부를 공개할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팩플: AI, 어디까지 알고 있니
팩플은 지금 가장 뜨거운 기술 비즈니스, 그리고 IT 기업에 대해 놓치지 말아야 할 이야기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챗GPT로 단 몇 초 만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시대. 생성 AI 개발과 경쟁은 어느 수준까지 와 있는 걸까요? 오픈AI가 저변을 넓히려는 오픈 생태계는 뭘까요? 궁금하시다면,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벚꽃연금, 장범준 아니어도 돼…AI 작곡으로 월 300 버는 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416

AI 미래는 ‘추론 맛집’ 경쟁…‘전성비’ 칩 회사들 돈 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842

“애플 엿 먹어” 저커버그 분노…격렬해진 AI 오픈소스 전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4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