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4월 2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만나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하루 앞둔 3일 여야가 각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윤 대통령을 겨냥해 “승복 선언”을 요구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탄핵심판 결과를 예단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공정한 판결이 나오길 바란다”며 “어떤 결과든 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시민 네 분이 물리적 충돌에 의해 돌아가셨다”며 “유혈 사태를 방지 위해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승복 선언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명구 국민의힘 의원은 BBS 라디오에서 “‘기각 시 폭동이 일어날 것이다’라는 등 내란을 선동하는 말들을 이 대표와 민주당이 하고 있다”며 “국민을 자제 시키지 않고, 선동하면서 흥분 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탄핵 심판의 대상자인 윤 대통령이 이러쿵저러쿵 말을 하는 것은 헌법 재판관들에게 압박이 된다”며 “이를 대신해 지도부가 수 없이 승복의 메시지를 냈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3 비상계엄을 ‘학교 폭력’에 비유하며 “가해자가 피해자를 힘들게 만들었는데, 피해자한테 앞으로 그냥 잘 지내야지 하는 것”이라며 “가해자가 사과하고 승복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SBS 라디오에 출연해 “탄핵 인용 결정이 나더라도 윤 대통령이 승복하지 않을 것 같아 우려스럽다”며 “탄핵 기각 시 민주당에 ‘플랜B’라는 건 없다. 국민들과 함께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도 MBC 라디오에서 “승복 선언은 피청구인인 윤 대통령만 하면 된다”면서도 “윤 대통령은 절대 승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선고 이후 유튜브에 출연하거나 광화문 연단에 올라가는 등 극우 강성 지지층들을 자극하면서 결국 국민의힘 대선에 영향을 끼치려고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 대통령은 침묵을 지키고 있고, 이 대표는 지난 2일 관련 질문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짧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