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미얀마 사망자 3500명 육박…美, 결국 102억 추가원조

5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강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 현장의 잔해를 치우기 위해 건설 중장비가 동원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강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 현장의 잔해를 치우기 위해 건설 중장비가 동원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규모 7.7 강진이 발생한 미얀마에서 사망자 수가 3500명에 육박했다. 미국은 당초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원조 삭감' 기조 속에 구조대나 구호물자 지원 없이 200만달러(약 29억원) 규모의 원조에 그쳤지만, 700만달러(약 102억원)를 추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현지 상황이 계속 악화하고 있고 '소극적 원조'라는 비판을 받은 것을 의식한 조치로 해석된다.

6일(현지시간) ABC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미얀마 국영 방송인 MRTV는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3455명, 부상자는 4850명, 실종자는 220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8일 미얀마에선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만달레이 인근에서 강진이 발생해 만달레이를 비롯해 수도 네피도 등 여러 지역에서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인명피해는 물론, 건물 수천 채와 도로, 교량 등 인프라가 파괴됐다.

이런 혼란 속에서도 미얀마 군정은 반군 소탕 작전을 이어가고 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 따르면 군정은 최근에만 총 80회 반군을 상대로 공습하거나 포격했다. 강진 발생 이후 53회, 지진 피해 수습을 위한 휴전 선포 후에 16회다. 미얀마 민주 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는 "이 기간 군부 공격으로 아동 1명과 여성 15명 등 민간인 68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이에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이 잇따르고 있다. 중국은 1억 위안(약 200억원) 규모의 구호물자와 함께 600명 이상의 대규모 구조대를 파견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미얀마 정부 관리들은 미 NBC 뉴스에 "중국, 러시아, 인도, 아랍에미리트(UAE) 등 최소 15개국이 구조대를 보냈다"고 언급했다. 영국은 1300만 달러(약 189억원)의 원조를 약속했다. 한국도 지난달 말 국제기구를 통해 200만 달러(약 3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다만 한국 정부는 지난 2023년 튀르키예 지진 당시 활약했던 한국 긴급구호대(KDRT) 파견은 아직 검토 중이다. 

지난 4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NATO)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AFP=연합뉴스

지난 4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NATO)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AFP=연합뉴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과 동시에 미국의 대외 원조를 90일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대외 원조기관인 미국국제개발처(USAID)도 사실상 폐지 수순이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최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벨기에 브뤼셀에서 취재진과 만나 "미국은 세계의 정부가 아니다"라며 "미국이 전 세계 인도주의 원조의 60∼70%를 계속 부담하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미얀마엔 미국을 좋아하지 않는 군정이 있다"며 "그들은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활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우리의 대응에 방해가 됐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미얀마를 소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이유가 USAID 폐지 때문이란 일각의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하지만 지진과 내전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커지며 상황이 악화하자 미국은 결국 추가 지원을 결정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 4일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700만달러를 추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대피소, 식량, 의료용품, 식수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 같이 전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