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공식 유튜브채널 서울시·SEOUL. 구독자 수 22만4000여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영상 5500여개가 올라와있다. 서울시는 2023년까지 SNS 채널을 용역 관리하다 현재는 영상 별 제작을 맡기고 자체 운영하고 있다. 사진 유튜브 캡처
7일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17개 광역지자체가 공공기관 광고 대행 업무를 하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을 통해 지난 2021~2023년 3년간 유튜브에 집행한 광고는 총 752건, 총금액은 113억여원이다.

부산광역시 유튜브 채널 부산튜브. 사진 유튜브 캡처
건당 액수로 보면 부산시의 지난 2022년 7~9월 2030 부산세계박람회 론칭편 3차 매체 광고 의뢰가 4억2800만원으로 가장 컸다. 강원도도 2021년 12월 2021 평화지역 관광지 홍보 등에 2억6000만원을 유튜브에 집행했고, 서울시는 2021년 10~12월 이회영 기념관 광고에 2억원을 썼다.
경기도와 전라남도도 각각 2023년 10~11월 도정 홍보 콘텐츠 광고에 1억6500만원, 2023년 3~7월 전남 방문의 해 유명 인플루언서 영국 남자 활용 홍보 추진에 1억4100만원씩 언론재단 정부 광고를 의뢰했다. 유튜브 광고는 생산한 영상을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강제로 노출하는 데 드는 비용이다.
문제는 암암리에 이뤄지는 구독자, 조회 수 부풀리기다. 각 지자체는 유튜브 영상 제작을 의뢰하면서 핵심 성과 지표(KPI)로 ‘구독자와 조회 수 증대’를 내건다. 이로 인해 용역업체는 조회 수와 구독자를 늘려주는 사설 마케팅 업체에 암암리에 금전을 지급하고 KPI를 달성한다는 게 업계 공공연한 비밀이다.
익명을 요구한 광역지자체 디지털 홍보 공무원은 “단기간에 유튜브 구독자와 조회 수 성과를 내야 한다고 압박하면 영상 제작 용역업체는 제작비 일부를 떼서 사설 업체에 구독자와 조회 수 부풀리기에 쓰는 게 현실”이라며 “구독자 5만명, 조회 수 10만 이상 킬러 영상을 만들고 건당 최소 5만원씩 구글 애즈 광고를 집행하라고 대놓고 과업을 지시하는 지자체도 있다”고 했다.

경상북도 유튜브 채널 보이소TV. 사진 유튜브 캡처

충남 충주시 유튜브 채널 충TV. 사진 유튜브 캡처
유튜브 영상 제작에 2021~2023년 예산을 많이 쓴 지자체는 보이소TV를 운영하는 경상북도 27억원, 부산시 19억5000만원, 서울시 9억8718만원, 경기도 9억5580만원, 충청남도 8억5000만원 순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영상 제작 예산 중 10% 미만으로 제작한 콘텐트를 더 알리기 위해 구글 애즈 광고료로 집행한다”고 설명했다.
유튜브 조회 수 늘리기는 광고 조회 수 즉 ‘애드 뷰(ad view)’ 비율로 확인할 수 있다.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입수한 17개 광역지자체 운영 유튜브 채널의 2021~2023년 평균 누적 조회 수는 628만6753회다. 이중 77.81%에 달하는 562만7938회가 유튜브에 광고료를 지급하고 이용자에게 강제 노출하는 애드 뷰로 집계됐다. 애드 뷰 비율은 부산시가 97.3%로 가장 높았고, 경기도 95.8%, 인천시 92.9% 순으로 나타났다. 충주맨(김선태 주무관)의 충주시 유튜브 충TV 애드 뷰 비율이 0%, 즉 단 한 푼도 유튜브 광고에 쓰지 않았다는 것과 대조적이다.
음지(陰地)에서 유튜브 구독자와 조회 수를 늘려주는 사설 업체를 활용하기도 한다. 채널 구독자 늘리기는 한국인 50명에 2만5000원부터 1만명 신속 늘리기 85만원으로 책정돼있다. 조회 수는 500회에 6000원부터 10만회에 78만원까지 값이 달라진다. 익명을 요구한 사설 업체 관계자는 “유튜브 채널 링크, 영상 링크만 있으면 작업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민기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명예교수는 “국가 기관들이 소유한 매체(owned media)와 비용을 지불하는 매체(paid media)로 매체를 구분하는 기준 자체가 달라졌는데, 소유한 매체를 홍보하느라 광고비를 쓰는 건 문제가 있다”며 “내용물을 가지고 승부를 봐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