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오름동맹 광역추진단 개소. 사진 울산시
해오름동맹 광역추진단은 8일 울산 수소트램의 경주·포항 연장 사업을 포함한 5개 분야 43개 협력사업(신규 8건, 계속사업 35건)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해오름동맹'이라는 명칭은 이들 지역이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지역이라는 데서 유래했다. 동맹은 2016년 울산경주포항 간 고속도로(53.7㎞) 개통을 계기로 결성됐으며, 지방 소멸 위기 대응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

해오름동맹 분야별 추진 사업. 자료 울산시
도시별 장점 앞세워 협력

울산 도시철도로 예정된 수소트램. 연합뉴스
이 밖에 국도 7호선(부산~강원 고성) 확장과 대체도로 개설(울산 북구 농소, 경주 외동), 국도 14호선(포항~거제) 단절 구간 연결 등이 주요 인프라 사업안에 포함됐다.
관광 분야에서도 협력에 속도를 낸다. 울산·경주·포항을 잇는 크루즈 관광상품 개발, 등산 관광 클러스터 조성, 환동해 해양관광 라인 구축 등이 주요 과제로 추진된다. 재난 대응 분야에서도 협력한다. 세 도시는 재난안전 공동연구 발굴단을 운영하고, 긴급 수술 환자를 위한 하이브리드 수술실 공동 활용, 물 부족 문제 대응 등 실질적인 연대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해오름동맹 사업 추진 일정. 자료 울산시
이 같은 협력 강화는 최근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활권 연대'가 부상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행정 구역 중심의 협력을 넘어, 실제 인구 이동과 산업 활동이 활발한 지역 간 실질적 연결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가 전환되는 분위기다.
생활인구 부산보다 경주가 더 많은 울산
산업 구조의 유사성도 울산이 해오름동맹에 집중하는 또 다른 이유다. 울산은 자동차·조선, 포항은 철강, 경주는 자동차 부품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자연스럽게 하나의 산업 벨트로 연결되는 구조다. 해오름동맹 광역추진단 관계자는 "다양한 공동 협력 사업을 원활히 추진해 세 도시가 함께 성장하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