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영의 즐거운 건강
내과 전공의 시절 혈액종양내과 병동에서 근무할 때의 일화이다. 교수가 회진 중에 “회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환자들의 질문에 “제가 계속 살 수 있는 법을 알려 드릴까요”라고 하시며 “대부분의 환자가 제 말을 안 들어서 돌아가셔요. 숨을 멈추지 말고 계속 쉬시면 됩니다”라고 하셨다. 명의라고 소문이 났던 교수의 말에 희망을 품고 귀 기울여 듣던 환자들이 웃기보다는 실망하는 모습에 나도 약간 당황했었다. 그런 나도 요즘 심장 건강을 위해 무얼 해야 하느냐는 환자들의 질문에 “뱃살을 빼라”고 한다. 대단한 답을 기대했던 분들은 실망하는데, 체중을 줄이는 것은 농담이 아니라 심장 건강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고 치료이다.
감량·증가 반복보다 꾸준한 체중 유지를
나의 환자들은 1년에 한 번은 심혈관계 위험 평가를 위해서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등을 측정하는데, 이전보다 수치가 늘어서 “혹시 체중이 늘었나요”라고 물으면 대개 1~2㎏정도 체중이 늘었다고 말한다. TV만 틀면 혹은 여러 인터넷 채널에서 먹방을 하고, 간단한 주문만으로도 맛있는 음식을 손쉽게 배달받을 수 있는 요즘에 체중을 유지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다. 1년이라는 세월, 1~2㎏ 증가는 여러 대사적인 문제를 유발하고, 과체중·비만 상태에서는 시간의 문제이지 당뇨·고혈압·고콜레스테롤증과 같은 만성질환이 생기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우선 현재 체중의 유지이다.

그래픽=이윤채 기자 lee.yoonchae@joongang.co.kr
체중이 늘어난 환자들에게 이유를 물으면 운동을 못 해서 그렇다는 말을 한다. 실제로 낙상, 다른 질환의 치료로 수개월 정도 거동을 못 해서 체중이 늘기도 하지만 대개는 집·직장의 일이 너무 많아서 규칙적으로 하던 운동을 못 한 경우이다. 이때 체중 증가는 운동 부족보다는 식사량 때문이다. 나이가 들수록 기초 대사량은 점점 줄어 가기 때문에 이전과 동일하게 먹는다면 체중은 늘 수밖에 없다. 나이가 50대가 넘게 되면 이전보다 대략 200㎉ 정도의 식사량 감량이 필요한데, 즉석밥 200g이 대략 300㎉이니, 작은 공기로 밥 한 그릇 정도 적게 먹어야 한다.
비만 진료지침 2022(8판)에 따르면 비만은 체질량지수 25㎏/㎡ 이상으로 정의한다. 2024년 우리나라 남녀 평균 키가 174.2㎝, 161.0㎝으로 계산을 하면 대략 76㎏, 65㎏ 이상이 되면 비만이다. 그래서 본인의 키에서 대략 100㎝를 뺀 것을 목표 체중으로 보면 쉽다. 키보다 체중이 작아야 한다고 설명하면 대개 다 앞자리 1을 빼고 잘 이해하는 것 같다. 이미 이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잘 유지해야 한다고 교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체중 감량을 추천한다. 비만 진료지침에서는 주당 0.5~1㎏의 감량이 건강한 속도라고 하는데, 고령에서는 다소 빠르고 부담이 될 수 있어서 대략 한 달에 0.5㎏, 1년에 6㎏ 감량할 것을 추천한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운동도 중요하지만, 식사량을 줄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앞서 말한 여러 식사법 중에 하나는 선택해도 되나, 천천히 지속적인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현재 식사를 변경하기보다는 우선 양을 조절해 볼 것을 추천한다. 우선 한 끼 식사에서 한 숟가락을 덜어내 보는 거다. 각자마다 식사 방법 및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조금씩 양을 줄여 보면서 체중 조절의 속도를 조정하고 가능한 예외적인 식사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당이 지나치게 많은 탄산음료, 케이크, 즉석 음식을 주로 먹는다면 이는 바꿔야 한다. 일반적인 가정식사의 경우에는 꼭 변경할 필요는 없다는 의미이다.
라면·젓갈 등 고나트륨 음식 피해야
정리하면 심장과 혈관의 건강을 위해서는 자신의 체중이 키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식사량 감량을 통해서 서서히 체중 감량을 해야 한다. 꾸준한 체중 유지가 감량과 증가를 반복하는 것보다 훨씬 좋다. 복잡한 식사법보다는 현재의 식사에서 식사량을 줄여 보는 것을 추천한다. 좋은 음식, 식사도 중요하지만 적당한 양 혹은 약간은 부족한 양의 식사가 더 중요하다. 좋은 식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짜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것이다. 정확히는 나트륨이 적은 식사이고, 라면·김치·젓갈·햄·소시지 등이 고나트륨 음식으로 과도한 섭취를 피해야 한다. 반복적인 시도에도 목표에 도달하기 어려운 비만의 경우에는 담당 의사와 상의를 통해서 최근 유행하는 약물과 시술을 통해서 치료하는 것도 필요하다. 최근에는 비만도 단순히 살이 찐 것이 아니라 만성질환의 하나라고 생각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를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음 시간에는 심장과 혈관을 위한 운동을 다뤄 보도록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