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 학생도 "Yes, I can"…현장서 본 AI교과서 명암 [르포]

지난 10일 오후 대구 덕화중학교 1학년 7반 학생이 수학 시간에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교과서(AIDT)를 이용해 문제를 풀고 있다. 이 학생이 적은 내용은 실시간으로 같은 모둠 학생들 뿐 아니라 교사에게 공유된다. 학생들은 각자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토의하며 문제의 답을 찾아 가는 활동을 했다. 이보람 기자

지난 10일 오후 대구 덕화중학교 1학년 7반 학생이 수학 시간에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교과서(AIDT)를 이용해 문제를 풀고 있다. 이 학생이 적은 내용은 실시간으로 같은 모둠 학생들 뿐 아니라 교사에게 공유된다. 학생들은 각자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토의하며 문제의 답을 찾아 가는 활동을 했다. 이보람 기자

 
10일 오후 대구 수성구에 있는 덕화중학교 1학년 7반의 수학 시간. 학생 14명의 책상 위엔 책과 연필 대신 태블릿PC와 터치펜이 놓여있었다. 이번 학기부터 덕화중은 수학·영어 과목에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교과서(AIDT)를 도입했다.

수업을 맡은 임선하 교사는 학생들에게 “복습 문제부터 풀어보자”고 제안했다. 3개의 문제가 태블릿 화면에 나타났고 학생들은 빠르게 정답을 써내려갔다. 

문제를 다 푼 한 학생이 ‘제출’ 버튼을 누르자, 화면은 1초도 안 돼 ‘평균 정답율 100%’, ‘총학습 시간 1분 20초’라는 분석 창으로 바뀌었다. 이어 AIDT에 내장된 ‘AI튜터’가 “너무 잘 해줘서 현재 새롭게 더 학습할 것이 없다”는 메시지를 띄웠다. 이어 “혹시 맞혔더라도 헷갈리는 개념이 있다면 ‘다시 풀기’로 완벽하게 이해하길 추천한다”고 권했다.  

10일 대구 덕화중학교 1학년 7반에서 AIDT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임선하 교사의 태블릿PC에는 실시간으로 학생들의 문제풀이 정답 여부가 표시됐다. 이보람 기자

10일 대구 덕화중학교 1학년 7반에서 AIDT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임선하 교사의 태블릿PC에는 실시간으로 학생들의 문제풀이 정답 여부가 표시됐다. 이보람 기자

 
임 교사의 태블릿PC엔 학생별 채점 결과가 실시간으로 전송됐다. 이를 확인한 임 교사는 오답을 쓴 학생 옆으로 자리를 옮겨 작은 목소리로 개별 지도에 나섰다. 그는 “일일이 채점하고 분석하는 시간을 절약해 수업을 훨씬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전 대구 용계초 4학년 3반 영어 수업에서도 AIDT가 활용됐다. 아이들은 이어폰을 귀에 꽂은 채 각자 책상 위에 올려둔 태블릿PC를 보며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을 말했다. 


한 학생이 “Yes, I am. I’m tired.”라고 말하자 곧바로 어절별 발음‧억양 점수가 화면에 나왔다. 이 학생은 70점 미만이 나온 문장을 여러 번 연습한 끝에 다음 문장으로 넘어갔다. 학교 관계자는 “학생들이 학습 효과 면에서 만족하고 있다”며 “실제 그동안 영어 말하기에 어려움을 겪었던 학급 내 발달 장애 학생이 AI교과서를 쓴 뒤 처음으로 영어 말하기를 하게 됐다”고 전했다.

대구 용계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를 이용해 수업을 하고 있다. AIDT 핵심 기능 중 하나인 'AI튜터'는 학생이 'I am tired.'라는 문장을 말하자, 어절별로 억양과 발음을 분석·평가해 알려줬다. 이 내용은 담당 교사가 교사용 대시보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보람 기자

대구 용계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를 이용해 수업을 하고 있다. AIDT 핵심 기능 중 하나인 'AI튜터'는 학생이 'I am tired.'라는 문장을 말하자, 어절별로 억양과 발음을 분석·평가해 알려줬다. 이 내용은 담당 교사가 교사용 대시보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보람 기자

AIDT가 교육 현장에 도입된 지 한 달여를 맞았다. AIDT는 올해 초등 3·4학년, 중 1, 고등 1학년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도입됐다. 교육부는 모든 학교에 AIDT를 도입하려 했지만, 교육계 일각과 야당은 디지털 과몰입 등을 우려하며 반대했다. 이로써 올해에는 교과서로 활용 여부를 학교가 자율적으로 정하게 했다. 

AIDT를 써 본 교사들은 학생 수준에 따른 맞춤형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장점으로 꼽았다. 대전 이문고에서 정보 과목을 가르치는 황유리 교사는 “그동안 유료 외부 플랫폼을 이용해 수업해야 했는데 지금은 AIDT 하나로 이론 수업부터 실습까지 가능해졌다”고 전했다.  

학생들도 반복 학습과 공유 기능 등에 만족감을 보였다. 용계초 4학년 임성호 군은 “틀린 문제 답을 곧바로 알려주고 비슷한 문제를 다시 내줘서 기초를 탄탄히 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덕화중 1학년 권세은 양은 “종이책 수업 때와 달리 실시간으로 친구들 의견을 공유할 수 있어서 모둠 활동이 편하고 재밌다”고 했다.  

지난 10일 오후 대구 덕화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AIDT를 이용해 수학 수업을 하고 있다. 이보람 기자

지난 10일 오후 대구 덕화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AIDT를 이용해 수학 수업을 하고 있다. 이보람 기자

하지만 교사·과목·학년에 따라 활용도에 차이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초등교사는 “AIDT 활용을 위해 별도 연수를 받아야 하고 디지털기기 조작에 서툰 저학년 학생들을 일일이 지도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교사는 “기존 서책 교과서와 AI교과서의 내용이 달라 이중으로 수업을 준비해야 하고 수업 내용을 직접 구성해야 해 부담”이라고 토로했다.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저학년이나 고령 교사를 위해 업체마다 천차만별인 사용자 환경(UI)·경험(UX)을 보다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국현 교사(용계초)는 “학교 차원에서 학생들의 디지털 문해력 격차를 줄이기 위한 교육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AIDT 정책을 지원해 온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정제영 원장은 “교사별 활용능력 차이를 줄이기 위해 교사 연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수 학생이 동시 접속할 때 오류가 발생하거나 느려지는 망 확충과 AI 고도화도 개선 과제다. 강원의 한 초등 교사는 “AIDT는 별다른 사교육 없는 벽지 아이들에게 훌륭한 수업 자료이나, 지금은 정확히 뭘 틀렸는지 알려준다기보단 비슷한 유형 문제들만 다시 추천해주는 게 대부분”이라며 “AIDT가 다수 과목에서 주 교과서로 활용되려면 AI 시스템이 좀 더 치밀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