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연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지난해 8월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정부 관계자는 13일 "지금 새로운 걸 논의하기엔 한계가 있어 3차 방안 추진은 중단하기로 했다"면서 "이미 발표한 1·2차 개혁 실행방안 후속 조치는 끝까지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개특위는 대선이 치러지는 6월 초쯤 활동을 마무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의료개혁의 핵심 중 하나는 상급종합병원을 본연의 역할에 맞게 중증·응급 진료 중심으로 전환하는 거다. 현재 시행 6개월째에 들어섰다. 전국 47개 상급종합병원이 일반 병실을 줄이고 중환자실을 늘리는 작업을 이어왔다. 그 결과 중증 환자가 전체의 52%(올 1월 기준)로 1년 전보다 7.2%포인트 늘었다. 정부는 연간 3조3000억원을 지원해 3년 내 중증 환자 비율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환자가 수술실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필수의료 과목의 저수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아·응급 등 필수의료 분야 1000여개 수술·마취에 대한 보상을 늘리는 정책도 올 상반기에 시행된다. 수도권·대형병원 쏠림을 막기 위한 지역병원 육성 정책도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각 지역 내에서 24시간 응급 진료 등을 맡아줄 '지역 포괄 2차 종합병원'에 3년간 2조원을 투자한다. 소아·분만·화상 등 필수진료에 특화된 병원을 키우기 위해 연간 1000억원 이상을 지원한다.
미용 의료 중 반드시 의사가 해야 할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 관리하는 '미용시장 관리체계 개선', 일정 기간 수련을 받아야 개원할 수 있도록 하는 '개원면허제'에 대한 논의는 중단한다. 의료개혁 방안 가운데 의료계가 가장 반발해온 정책이다.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은 이르면 이번 주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27년 이후 의대 정원은 의료인력수급추계위에서 논의를 이어간다.
지난 8일 대한의사협회는 의개특위를 해체하고 개혁 과제를 의료계와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자고 정부에 요구했다. 하지만 대선 이후에도 의료개혁은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남은경 경실련 사회정책국장은 "지금 의료개혁을 중단하면 나중에 더 큰 빚으로 돌아올 수 있다"라며 "새 대통령이 누가 되든 개혁은 계속 이어가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