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대 로고. AP=연합뉴스
전날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캠퍼스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포함한 교내 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반유대주의 사건'이 발생한 10개 대학 캠퍼스를 방문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서다.
결국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대해 수년간 22억 달러(약3조1000억원) 규모의 보조금과 6000만 달러(약854억원) 규모의 계약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날 미 세법에 따라 대학에 부여된 면세 지위 박탈까지 직접 거론한 것이다.
일각에선 트럼프의 '문화 전쟁'이 명문대들과의 마찰을 키우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트럼프는 그동안 친팔레스타인 시위 등을 포함해 미 주요 대학들이 좌편향됐다며 거액의 연방 보조금을 무기로 정책 변화를 강요해왔다. 특히 하버드대와 컬럼비아대를 포함한 아이비리그(미 동부 8개 명문 사립대)가 주요 타깃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 하버드대의 면세 지위 박탈을 경고하며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올린 글. 사진 트루스소셜 캡처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올해초 트럼프 대통령과 친분이 있는 로비회사 발라드 파트너스를 고용하는 등 트럼프 2기 출범에 대비해왔다. 또한 중동연구센터를 축소하고 팔레스타인 대학과의 협력은 중단하는 대신 이스라엘 대학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조치 등을 취했다.
그러나 지난 11일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5쪽짜리 정책 변경 요구 목록을 전해 받고 강경한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한다. 입학과 채용 과정 그리고 학생 및 교직원의 이념에 대해 연방정부가 감시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내용 등이 포함돼 있었다. WSJ는 “하버드는 이 요구들이 동급 대학들에게 요구된 것보다 훨씬 강도 높다고 판단했고, 더 이상 침묵할 수 없었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전했다.

15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캠퍼스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막대한 기부금이 있지만 지출이 자유로운 상황도 아니다. 지난해 기준 532억 달러(약 75조7600억원) 규모의 기부금은 세금이 면제된 기부금과 투자 수익으로 구성돼 교수 급여와 장학금, 기타 운영비 등에 사용된다. 뉴욕타임스(NYT)는 “대학 경영진은 이 기금을 사용하는 데 매우 신중하며, 미래를 위한 재정 보존을 중요하게 여긴다”며 “하버드의 기금 중 약 80%는 특정 용도로만 사용 가능하게 제한돼 있다”고 소개했다. 여기에 대학 기부금에 대한 세금 공제 혜택까지 영향을 받을 경우 초고액 기부금 모집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지난해 5월 23일(현지시간) 미국 하버드대에서 열린 제373회 졸업식에서 앨런 가버 총장이 박수를 치고 있다. 가버 총장은 14일(현지시간) 교내 커뮤니티에 보내는 글에서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 어떤 정부도 사립대학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할 수 있는지, 어떤 연구와 탐구 분야를 추구할 수 있는지 지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EPA=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