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이후 처음 의대생 만난 이주호 “학생 참여하는 의학교육위원회 만들겠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뉴스1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뉴스1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의대 교육 정책 결정 과정에 학생들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해 2월 의정갈등 이후 1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의대생들과 공식적으로 마주한 자리에서다. 

이 부총리는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생과의 간담회에서 “의학 교육 발전을 위해 교수와 전문가뿐 아니라 학생들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수렴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부총리의 간담회 참석은 대한의료정책학교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의료정책학교는 전공의·의대생들이 모여 의료정책결정에 대해 논의하는 의료계 대안 단체로 지난달 출범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모두 발언에서 “그간 정부와 의료계 간 진정성 있는 소통이 부족했기에 의료 정책을 둘러싼 갈등이 이어져 왔다는 점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번 자리가 학생들과 교육부, 그리고 의료계와 정부 간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원 동결, 학생 복귀 위한 결정”

특히 이 부총리는 최근 의대 정원 동결이 학생 복귀를 위한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부는 많은 고심 끝에 의대 교육을 책임진 총장님들과 교수님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하기로 결정했다”며 “정부는 무엇보다 의대생 여러분의 복귀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최우선에 두고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 과정부터 졸업 이후 진로까지 현장에서 우려가 큰 사안들에 대해서도 정부가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 부총리는 “24·25학번을 분리 운영하고, 24학번이 먼저 졸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모델을 마련했다”며 “본과 3·4학년의 임상실습도 지역 의료원과의 연계를 통해 실습기관을 확대해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또 “의사국가시험과 전공의 모집·자격시험 일정의 유연화는 보건복지부와 협의를 마쳤으며,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이 부총리의 발언에 앞서 최안나 대한의료정책학교 교장은 “더 이상의 피해를 막고 의학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마련된 오늘 간담회에서 부디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며 한 의대생의 편지를 대독했다. 해당 학생은 “앞으로는 의학교육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교육부가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이를 구조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길 바란다”며 “이주호 부총리가 2026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확정 발표한 게 사태 해결의 초석이 되리라 본다”고 말했다. 

“학생들, 복귀 필요성 체감 못하는 분위기”

20일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열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20일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열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교육부가 대화의 물꼬를 텄지만,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와 대학은 본과 4학년의 유급 시한이 도래하는 4월 말까지 학생들의 복귀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이날까지도 뚜렷한 변화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 박상규 중앙대 총장은 지난 21일 기자간담회에서 “정원 동결 발표가 곧바로 복귀로 이어지진 않고 있다”며 “특히 서울권 대학은 증원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복귀 필요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의 평균 수업 참여율은 25.9%로, 본과생은 29%, 예과생은 22.2%, 본과 4학년은 35.7%였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에 따르면, 전국 32개 의대 중 24개교에서 본과 4학년의 유급 기한이 이미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은 한림대와 한양대 의대의 유급이 결정되는 날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올해는 대학들이 학사 유연화가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히고 있는 만큼, 수업에 복귀하는 학생들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