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 사진 부산시
“공사 기간 2년 늘려야”
이에 대해 국토부는 컨소시엄이 제출한 기본설계안에 대한 보완을 요구했다. 또 컨소시엄이 보완을 하지 않을 경우 사업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덕도신공항공단과 합동 TF를 즉시 가동하고, 분야별 전문가 자문회의를 구성, 운영해서 차기 입찰방식을 신속하게 검토할 방침이다. 김정희 국토부 가덕도신공항건립추진단장은 "우선 컨소시엄이 왜 입찰조건을 어기고 108개월로 제출했는지를 세세하게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가덕도 신공항 부지공사는 활주로와 방파제 등을 건설하는 공사다. 하지만 육지와 바다 위에 걸쳐 건설해야 해 공사 자체가 어려운데, 공기마저 빠듯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에 지난해엔 국토교통부의 부지공사 입찰이 네 차례 유찰됐다. 1차 땐 응찰 건설사가 아예 없었다. 2~4차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관심을 보였지만 단독응찰로 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유찰됐다.

가덕신공항 부지. 사진 부산시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문제를 제기한 건 파도의 높이 등 공사 기한을 산출한 기존 자료가 실제 현장 환경과 차이가 있다는 걸 파악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가덕도 신공항 활주로는 ‘동서(東西)’ 방향으로 지어지는데, 그 근거가 된 기상 자료에 오류가 있었단 사실이 드러난 점 등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대책 필요하지만, 정쟁 안 돼”

가덕도신공항 건립추진단장이 2023년 3월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열린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부산ㆍ경남권 신공항 건설 필요성 논의는 2002년 4월 15일 김해 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중국 민항기 사고를 계기로 시작됐다. 129명이 숨진 사고다. 2011년부터 대선 및 총선에서 단골 공약으로 신공항 건립이 등장했다. 문재인 정권 임기 막판에 특별법 통과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가 확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