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3적' 관리 나선 서울시, 땅 파는 공사장 매일 살핀다

서울시가 대규모 싱크홀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온 각종 지하굴착공사 현장의 안전관리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지하 10m 이상 굴착·터널굴착 공사장의 특별점검 주기를 기존 연 1회에서 월 1회로 강화한다. 우기ㆍ해빙기 등에 대비한 지반침하와 흙막이 안전성 등을 더 꼼꼼히 따져보기 위해서다. 공사 현장의 자체 관리도 강화한다. 현장 감리단장과 현장소장 등이 1일 1회 이상 공사장 주변을 순찰한 뒤 점검결과를 보고하도록 했다. 

역삼동 싱크홀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들. 연합뉴스

역삼동 싱크홀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들. 연합뉴스

 
굴착작업장은 24시간 가동되는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관련 동영상 기록을 저장하고, 이를 매일 모니터링한다. 공사장 현장 주변 침하나 균열이 발생하면 공사는 전면 중단한다. 이후 경찰 협조하에 도로를 통제하고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및 시추조사 등 정밀조사를 한다.

서울시가 땅꺼짐(싱크홀)과 전쟁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사후 복구보다는 예방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시는 노후 상ㆍ하수도관 교체와 굴착ㆍ터널굴착 공사장 관리 등 '싱크홀 3적(敵)'에 대한 관리를 대폭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을 이날 내놓았다. 최근 5년간 서울시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92건) 중 51건(55.4%)이 노후 상ㆍ하수도관 손상, 12건(13.2%)이 굴착공사로 인한 것이었다.

굴착공사 현장의 안전강화와 더불어 시는 2040년까지 2조5000억원을 투입해 총 3074㎞에 이르는 노후 상수도관을 정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1단계(2020년~2027년) 정비에만 1조501억원을 투입한다. 올해에는 89.2㎞의 노후 상수도관을 교체한다. 지난해보다 정비 구간이 43%나 늘어났다. 기존 한 해 평균 2000억원씩 투입해 100㎞씩 정비하던 노후하수도관도 앞으로는 2배 늘린 4000억원을 투입해 연 200㎞씩 정비하기로 했다.

지하 20m까지 살필 수 있는 '지반침하 관측망' 도입 

싱크홀을 사전에 잡아내는 ‘눈’인 탐지 장비도 고도화한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깊이 2m 내외의 위험 요소만 탐지 가능했던 지표투과레이더(GPR)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기술인 ‘지반침하 관측망’을 주요 공사 현장에 설치해 운영한다. 이 장비는 지반 내에 기둥형 관측 센서를 박아넣어 지하 약 20m까지 지반침하 등으로 인한 토사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지반침하 관측망을 주요 현장에 설치하는 건 국내 지자체 중 서울시가 최초다. 시는 이 장비를 강동구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현장에 인접한 9호선 4단계 1공구 현장에 다음 달부터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3일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지하 암반 굴착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3일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지하 암반 굴착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지하 굴착공사장 안전관리를 위한 GPR 탐사 장비와 인력도 확대한다. 시는 우선 15억원을 들여 현재 4대인 차량형 GPR 3대를 추가로 도입, 총 7대를 운영하기로 했다. 안전 관련한 정보도 적극적으로 공개한다. 우선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구간 등 시내 철도 공사장 5곳(49.3㎞ 구간)과 자치구 선정 50곳(45㎞) 등에 대한 GPR 특별점검 결과를 공개한다. 그에 더해 대형 굴착공사장 중심의 ‘지반 특성 반영 지도’도 제작해 공개할 예정이다. 지하공간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전담 조직인 ‘지하안전과’도 신설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혹시라도 (싱크홀) 사각지대가 없는지 꼼꼼히 챙겨 대형 굴착 공사장 인근 발생 사고는 100%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노후 상하수도관에 대한 정비는 물론 최근 발전한 디지털 트윈(물체를 가상으로 표현한 것) 기술을 활용해 싱크홀 사고를 더 촘촘히 예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