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 쿠르스크 전투 훈련하는 북한군. 사진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텔레그램 캡처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사망 600명을 포함해 총 4700명의 사상자가 나온 것으로 파악했다.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은 30일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보고했다고 전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군은 2차례에 걸쳐 총 1만5000명이 러시아에 파병됐다.
우크라이나군이 진입한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군이 대부분 영토를 수복함에 따라 3월 이후 교전이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3차 파병은 아직 가시적 움직임은 없지만, 가능성은 존재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북한군은 파병 초기의 미숙함이 줄고 무인기 등 신형 장비에 익숙해지면서 전투력이 상당히 향상됐다. 다만, 파병 장기화로 북한군 내 과음·절도 등 현지 일탈 행위도 보고됐다고 한다.
북한군 전사자는 쿠르스크에서 화장된 다음 이송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파병 및 무기 수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정찰 위성 발사대 및 기술 자문, 무인기 실물, 전자전 장비, SA-22 지대공 미사일 등을 받은 것으로 보고됐다.
또 금속·항공·에너지·관광 등 14개 부문에서 산업 현대화를 논의 중으로, 북한 노동자 1만5000명 정도가 러시아에 보내진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