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 고양시청 본관. 사진 고양시
인구 108만 명의 대도시인 고양시는 전국 5개 100만 특례시 중 하나다. 하지만 시청 본관은 1983년 고양군 시절 건립된 노후 건물이어서 공간이 협소하고 시설도 낙후돼 있다. 이에 따라 시청 부서는 본관과 신관, 1·2·3별관, 백석별관, 8개 임차 청사를 포함해 총 14개 건물에 분산돼 있다.
이에 고양시는 행정 효율성 제고와 시민 민원 불편 해소를 위해 백석별관으로 부서를 재배치하는 계획을 마련했지만 지난 3월 시의회의 예산 삭감으로 전면 무산됐다. 이로 인해 민원인들은 관련 부서를 방문하기 위해 여러 건물을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으며, 주차 공간 부족에도 시달리고 있다.
매년 5500억~6000억원의 예산을 집행하는 사회복지국은 여러 공간으로 분산돼 있다. 장애인과 노인, 아동 등 취약계층 민원이 집중되는 부서인데도, 5개 부서가 국장실 포함 9개 공간에 나뉘어 있다. 이에 따라 취약계층 민원인들이 담당 부서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렵고, 관련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여러 공간으로 옮겨 다녀야 한다.
민선 8기 핵심 공약을 추진하는 자족도시실현국도 4개 과가 다른 공간에 흩어져 있어, 글로벌 이슈나 긴급 현안 발생 시 부서 간 협업에 지장이 따른다. 청사 보안을 담당하는 청원 경찰들은 방호 임무 외에 청사 간 이동 안내 업무까지 맡고 있어 과중한 업무 부담을 안고 있다.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고양시청 백석별관. 사진 고양시
활용도 큰 백석별관, 재배치 예산 삭감에 방치
하지만 시의회는 지난 3월 제1회 추가경정예산 심의에서 관련 예산 65억원 전액을 삭감했다. 시는 이에 대해 백석별관의 장기 미활용이 지속하고, 12월 만료되는 임차 청사의 계약 연장으로 예산 수억 원이 추가로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시가 임차 청사에 지출하는 연간 임대료는 약 9억 4000만원이다. 시는 청사가 재배치 되면 관리비·공공요금 등 약 4억 원(2024년 지출기준)의 청사관리 예산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예산 미반영으로 인한 사업 차질은 아쉽지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관련 특위에서도 백석 업무빌딩 장기 미활용 문제를 주요 쟁점으로 지적한 만큼 시의회와 긴밀히 협의해 시민 중심의 효율적인 청사 운영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