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 전사자 고(故) 송영환 일병 표준영정. 사진 국방부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과 함께 추진해온 6·25 전사자 유해 얼굴복원 사업 첫 번째 완료 사례를 8일 공개했다.
첫 복원 대상자는 6·25 전쟁에서 전사한 고(故) 송영환 일병으로, 고인의 외동딸 송재숙(76)씨에게 고인의 유해를 바탕으로 완성한 ‘2D 표준영정’과 감사패를 전달했다. 이날 송재숙씨는 생전 처음으로 아버지 영정 앞에 카네이션을 놓았다.
1924년생인 고인은 1950년 12월 자원입대해 이듬해 3월 국군 9사단 29연대 소속으로 정선 전투에 참전했다가 총상을 입고 전사했다. 그의 유해는 2013년 강원 동해시 망상동에서 발굴됐고 지난해 10월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국유단은 지난해 국과수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6·25 전사자 유해 얼굴복원 사업을 추진해왔다. 유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해 복원이 가능한 두개골 4구를 선정했고 첫 번째 복원 대상자로 고인의 유해가 선정됐다.
국과수는 실종자 얼굴 복원 방식과 같이 컴퓨터단층촬영(CT) 사진을 바탕으로 최초 두개골 상태에 근육을 하나하나 붙여가며 생전 얼굴을 복원하는 과정을 거쳤다.
송재숙씨는 고인이 세상을 떠났을 당시 세 살배기에 불과해 아버지를 기억하지 못했다고 한다. 국유단은 추가로 동해시 망상동에서 수습한 3구의 유해에 대해 신원 확인과 복원 작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호국영웅 얼굴 복원은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켜낸 분들의 명예를 선양하고 유가족 아픔을 위로하는 방식”이라며 “앞으로도 6·25 전사자가 생전의 얼굴을 되찾을 수 있도록 국과수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