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모(48)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윤핵관이 수사 첩보를 알려줘 대비했다"는 취지로 말한 녹음파일을 검찰이 확보했다. 독자 제공
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부장 박건욱)는 2022년 9월 윤모(48)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또 다른 통일교 관계자 A씨에게 “경찰에서 외국환관리법 위반 사항으로 압수수색할 수 있으니 대비하라는 말을 들었다”는 취지의 육성 녹음 파일을 확보했다. 이듬해 9월 윤 전 본부장이 A씨에게 재차 이 사실을 언급하며 “그 당시 윤핵관이 알려줬고, 한학자 통일교 총재에게 보고했다”고 말한 녹음 파일도 입수했다고 한다. 윤 전 본부장은 전씨에게 김 여사 선물용 그라프 목걸이, 샤넬 가방 등을 건네고 통일교 관련 청탁을 한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를 받는다.
녹음 파일에는 통일교가 증거를 인멸하고 경찰·검찰에 로비한 정황도 담긴 것으로 파악됐다. 윤 전 본부장은 A씨에게 “노트북 포맷, 문건 폐기 등을 지시했다”, “로비가 제일 확실하다. 경찰·검찰에 자금을 줘야지 압수수색 때 연락이 오지 않겠냐”고 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경찰 최고위직에게 큰 사건을 잘 처리 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는 취지로 주장했다고 한다.

건진법사 전성배씨(왼쪽),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 윤모씨. 뉴스1.독자제공.
검찰은 지난달 25일 A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관련 의혹 등을 조사했다. A씨는 검찰에 “건진법사가 윤 전 본부장에게 경찰 고위 관계자를 소개해줬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 수사망은 통일교 재단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한 총재 조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전 본부장이 전씨에게 김 여사 선물 명목으로 수억원대 금품을 전했다는 의혹에 대해 “모두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결재를 받고 한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하기도 했다. 통일교 측은 “윤 전 본부장의 일방적 주장”이란 입장이다. 검찰은 윤 전 본부장의 아내인 이모 전 통일교 재정국장도 피의자로 입건하기도 했다.
경찰·검찰 인사의 인사 청탁 의혹도 검찰 수사 대상이다. 전씨 압수수색과 포렌식을 통해 경찰·검찰 명함 수백장과 이력서를 다수 확보했다. 이중엔 통일교 수사를 담당했던 이들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