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일자리 수도권 집중 더 심화…임금 상위 10곳 중 비수도권 세종뿐

10년 동안 늘어난 전체 취업자 수의 절반이 수도권에 몰렸다. 이 기간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 격차도 더욱 벌어졌다.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전경. 삼성전자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전경. 삼성전자

한국고용정보원이 9일 발간한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따르면 최근 10년간 취업자 수 증가 상위 20개 시군 중 12곳이 수원시 등 수도권 도시였다. 2013~2023년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이 기간 수도권 도시에서 증가한 취업자 수는 150만 명으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취업자 수 증가분(331만 명)의 46.8%를 차지했다. 새로 생긴 일자리의 절반가량이 수도권에 집중됐다는 의미다. 10년 새 수도권과 지방의 일자리 양극화도 그만큼 심해졌다.

대기업 생산 거점이 있는 수원시∙화성시∙용인시 등 경기 남부권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크게 늘었다. 하지만 비수도권에선 세종시나 혁신도시가 있는 나주시, 수도권에 인접한 충남·북 일부 산업도시를 제외하면 새로 생긴 일자리가 많지 않았다.

전체 취업자와 마찬가지로 15~29세 청년 취업자도 수도권·대도시에서 많이 늘어났다. 2023년 1분기를 기준으로 전체 취업자 중 청년층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안산시(17.4%)와 충남 천안시(16.6%)였다. 반면 전북 순창군은 전국에서 청년 취업자 비중이 가장 낮은 1.8%를 기록했다. 10년 전보다 청년 취업자 수가 70%나 감소하면서다. 연구진은 지역 간 청년 취업자 비중 격차가 벌어진 건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경기도와 충청 지역으로 이동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일자리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지역별 임금 차이도 더 벌어졌다. 전국 지자체의 월평균 상대임금(전국 평균을 100으로 놓고 지수화) 순위를 살펴보면 2013년엔 상위 20곳 중 8곳이 비수도권이었으나 2023년에는 6곳으로 감소했다. 특히 10위권 내에 광양시∙울산광역시∙거제시 등 3곳이 포함됐던 것과 달리, 2023년에는 사실상 ‘공무원 도시’인 세종시를 제외하면 상위 10곳에 비수도권 지자체는 한 곳도 없었다. 2013년 과천시∙용인시에 이어 3위에 올랐던 광양시는 2023년 14위로 처졌다. 광양∙울산∙거제는 조선·철강 등 산업체가 몰려있는 대표적 중공업 도시다. 제조업 경기가 꺾이면서 이들 지역의 고용지표도 함께 나빠졌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산업단지를 만들거나 기업을 유치하면 자동으로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시대(피플 to 잡)에서, 젊은 인재가 모여 있고 이들에게 매력적인 지역으로 기업과 일자리가 쫓아가는 구조(잡 to 피플)로 바뀌고 있다”며 “교통망이나 산업클러스터 등의 인프라와 인재 유치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