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호성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절차와 일정 개편 계획 등을 포함한 '공연예술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연합뉴스
문체부는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공연예술 정책 관련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비공개 인선에 따른 공정성 시비, 선임 절차가 지연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체장 공석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다.
개편안 발표에 나선 용호성 문체부 1차관은 "국립예술단체장 선임 과정을 궁금해하거나 선임 배경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례가 많았다"며 "선발 절차를 공개적으로 전환해 그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사전에 걸러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단체장 후보자를 비공식적으로 추천받아 임명하던 기존 인선 절차를 폐지하고, 공개 모집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후보자가 '공개검증위원단'에 중장기 비전과 운영계획을 발표하고, 예술적 역량을 선보이는 공개 검증 제도도 도입한다.
문체부는 또 국립예술단체장 공석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단체장 임기가 만료되기 1년 전에 후임자 선임 절차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후임자가 임기 개시 최소 6개월 전부터 미리 단체 운영을 준비하고 세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문체부는 다음 달 국립예술단체장 직위 중 잔여 임기가 1년 미만인 직위를 대상으로 통합 모집공고를 할 계획이다. 예술의전당 사장, 국립정동극장 대표, 국립오페라단 단장, 국립발레단 단장, 국립현대무용단 단장, 국립어린이청소년극단 단장 등 12개 자리가 공고 대상 심사를 거쳐 8∼9월 중 선발 절차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공개모집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립국악원장과 국립극장장은 대통령에게 최종 후보를 제청하는 과정을 공개한다.
용 차관은 "국립국악원장과 국립극장장은 인사혁신처가 전체적인 선발 절차를 진행하고, 문체부 장관이 대통령에게 임명을 제청하는 절차를 밟고 있어 이번 개편안에는 제외됐다"며 "두 단체장 인선 과정에서도 문체부 장관이 제청하는 단계에서는 개편안이 활용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