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 개최될 미·일 3차 관세협상을 앞두고 일본 내에서 미국산 일본차 역수입과 조선업 협력 등 다양한 ‘협상 카드’가 거론되고 있다.
지난 1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2차 관세협상에 참석한 일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오른쪽)이 스콧 베센트 (두번째) 미국 재무장관 등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15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달 초 이뤄진 2차 협상에서 ‘미·일 조선 황금시대 계획’을 미국 측에 전달했다. 미국 측이 관심이 높은 조선 분야를 내세워 관세 협상 재료로 쓰겠다는 전략이다. 양국의 조선 분야 협력은 지난 2월 이뤄진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 이후 부상했다. 트럼프 정권이 침체한 미국 조선업 부활에 관심을 보이자, 일본 정부는 이를 활용해 ‘미·일 조선 황금시대’ 계획을 세웠다. 선박 수리 능력 확대와 공급망 강화, 북극권 항해에 사용되는 군용선이 아닌 쇄빙선 기술 협력 등을 담았다. 하지만 실제로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이 가능할지에 대해선 의문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세계 조선업 시장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조선 시장의 강자였지만 2000년대 이후 중국과 한국의 약진에 뒤처진 상태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마이니치에 한국 조선업이 보조금을 받는다는 점을 언급하며 “(미국과의 협력이 실현되어도) 제대로 이익을 낼 수 있겠냐”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자동차 산업이 일본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미국에서 생산한 일본차를 역수입하자는 안도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과거 90년대 미·일 무역 갈등 당시에도 미국과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역수입한 바가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고민의 배경엔 일본 내 수요 문제가 깔려있다. 미국과 일본은 운전석 위치가 다른 데다 일본 내에서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은 관세 협상에서 자동차와 철강 등에 대한 관세를 제외하고, 상호 관세의 추가분(14%)만 협상 대상이라고 한 만큼 일본으로서는 자동차 관세 제외를 위해 미국의 대일무역 적자를 해소할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국과 중국이 속속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마무리한 가운데 지지통신에 따르면 관세협상을 이끌고 있는 아자카와 료세이(赤沢亮正) 경제재생상은 다음 주 후반에 미국을 방문하는 방향으로 조정에 나섰다. 지지통신은 “6월 캐나다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담에 맞춰 일·미 정상회담에서의 합의도 시야에 두고 교섭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도쿄=김현예 특파원 hyk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