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고소 취하로 화해 가능성…"교학 소통 이어갈 것"

지난 2월 21일 서울 성북구 동덕여대에서 열린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동덕여대는 지난해 11월 남녀공학 전환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래커칠 시위 등으로 발생한 피해 보상 문제를 두고 학생들과 의견 대립을 겪어 왔다. 연합뉴스

지난 2월 21일 서울 성북구 동덕여대에서 열린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동덕여대는 지난해 11월 남녀공학 전환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래커칠 시위 등으로 발생한 피해 보상 문제를 두고 학생들과 의견 대립을 겪어 왔다. 연합뉴스

 
남녀공학 전환 논의에 반발한 동덕여대 학생들이 학교 점거 농성을 벌인지 약 6개월 만에 학교와 화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동덕여대가 학생들을 상대로 한 형사 고소를 모두 취하하면서다.

15일 동덕여대는 전날 밤 서울경찰청에 학생들에 대한 형사고소 취하서와 처벌불원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동덕여대 제58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3월 학생처 면담을 시작으로 10회가량 처장단과 만났고, 학교와 소통 과정에서 국회에 중재를 요청하기도 했다”며 “긴 논의 과정을 거쳐 학교의 상호 소통 의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동덕여대 관계자는 “갈등을 길게 끌어봐야 이미지 실추 등 학생과 학교에 좋을 것이 없다는 의견이 모였다”며 “학생들도 교내 시설물 파괴에 대한 잘못을 인정하는 취지의 입장문을 전했고, 학교도 학생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아 이를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학교 측에 따르면 지난 3월 진행하려 했던 공학 전환 공론화 위원회와 피해 복구에 관한 위원회도 새로 구성될 예정이라고 한다. 동덕여대 비대위 재학생은 “아직 공론위와 피해 복구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 없으며 꾸준히 소통해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3월 3일 동덕여대 재학생들과 참여자들이 서울 안국역 인근에서 재단 규탄 집회를 열고 학교 측의 학생 대상 고소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지난 3월 3일 동덕여대 재학생들과 참여자들이 서울 안국역 인근에서 재단 규탄 집회를 열고 학교 측의 학생 대상 고소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김명애 동덕여대 총장은 이날 오후 5시쯤 총장 명의의 담화문을 내 공식 입장을 밝혔다. 김 총장은 "학생들의 불법 행위가 정당화될 수 없다는 점에서 법적 조치를 취했지만, 궁극적으로 처벌보단 대화와 포용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게 교육기관의 입장"이라면서 "이번 사태에 대해 총장으로서 다시 한번 죄송한 마음을 전하며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길 바란다"고 했다. 함께 게시된 상생 협력 합의서에는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학내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상시 소통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지난해 11월 동덕여대 학생들은 학교 측의 일방적인 남녀공학 전환 추진에 반발해 24일간 본관을 점거하고 교내 시설물에 래커칠하는 등 시위를 벌였다. 동덕여대는 총학생회장을 비롯한 21명을 공동재물손괴 및 공동건조물침입 등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동덕여대 측은 피해 금액을 최대 54억원으로 추산했다.

 
다만 학교 측의 고소 취하 이후에도 경찰 수사는 계속될 전망이다. 학생들이 받는 혐의가 친고죄(기소 시 피해자의 고소가 필요한 범죄)나 반의사불벌죄(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으면 형사처벌할 수 없는 범죄)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경찰은 “학교 측이 고소를 취하했지만, 시민단체 등이 다른 고발이나 진정을 해 사건이 병합됐기 때문에 수사는 계속된다”고 밝혔다. 서울경찰청은 동덕여대 사태와 관련해 현재까지 총 75건의 고소‧고발‧진정을 접수했고, 33명을 공동재물손괴 혐의 등으로 입건하여 수사하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