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21일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 ‘컴퓨텍스 2025’ 참석차 대만에 머물고 있는 황 CEO는 21일 열린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가 미친 영향과 정책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그는 “전반적으로 볼 때 수출 통제는 실패(failure)했다”고 잘라 말했다. 또 그는 “수출 통제가 오히려 화웨이 등 중국 기술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AI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내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자사의 인공지능(AI) 반도체 ‘H20’ 시리즈의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했다고도 설명했다.
“실패한 수출 통제…中 기술력만 키워”

지난 4월 30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Investing in America' 행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지켜보는 가운데 엔비디아 CEO 젠슨 황(오른쪽)이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향후 H20보다 사양이 더 낮은 제품을 개발할 가능성은 일축했다. 황 CEO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 아키텍처(H100, H200 등의 기반 설계도 격)는 더는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중국 시장의 향후 전략적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황 CEO는 “이제 미국만이 AI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설득력을 잃었다”며 “수출을 막을 게 아니라 기술 확산을 통해 경쟁에서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내년도 중국의 AI 시장 규모를 500억 달러(약 70조원)로 전망하며, 이 기회를 놓치는 건 전략적 실책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170억 달러(23조6000억원)를 벌었다.
지난 19일 개막 하루 전 기조연설에 이어 간담회에서도 삼성전자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날 황 CEO는 ‘고급 패키징 기술을 가진 TSMC 외에 다른 팹(공장)을 이용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이 나오자 “현재 다른 대안은 사실상 없다”며 선을 그었다. TSMC 외에 패키징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나 인텔과의 협력 가능성은 낮다는 의미다. 삼성전자는 패키징 역량을 키우고 있으나, 업계 1위인 TSMC와의 점유율 격차는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삼성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8.1%로, 전 분기(9.1%)보다 하락했다. 같은 기간 TSMC는 67%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