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후이(安徽) 우후(蕪湖)항 주자차오(朱家橋)항구구역 국제 컨테이너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 작업을 하는 화물선을 드론에 담았다. 신화통신
실제로 항구 물동량은 대외무역 활력을 가늠하는 '바로미터'로 꼽힌다.
우후(蕪湖)항은 안후이(安徽)성 내에서 컨테이너 물동량이 가장 많은 항구다. 한 관계자에 따르면 올 1~4월 우후항의 화물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4% 늘어난 누적 939만7700t(톤)으로 집계됐다. 그중 컨테이너 물동량은 57만4300TEU로 11.40% 확대됐다.
중남미와의 '일대일로' 공동 건설의 대표 프로젝트로 꼽히는 '찬카이-상하이' 해운 항로는 올 1~4월 누적 48회(중복 포함)의 정기 노선을 운항했다. 이를 통해 상하이 해관(세관)은 4만1000t의 수출입 화물을 감독·관리했다. 화물 가치로는 10억2000만 위안(1948억2000만원) 규모다. 덕분에 같은 기간 상하이의 대(對)페루 수출입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 이상 급증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광저우(廣州)항의 올 1~4월 대외무역 화물 물동량은 17.49%, 대외무역 컨테이너 물동량은 21.91% 늘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또한 남미 서안으로 향하는 첫 직항 노선인 WSA3 항로를 개통해 웨강아오 대만구(粵港澳大灣區, 광둥-홍콩-마카오 경제권)와 남미 서안 지역 간 물류 통로를 추가했다.

4월 30일 칭다오(靑島)항 첸완(前灣) 컨테이너 부두에서 하역 작업 중인 화물선을 드론으로 내려다봤다. 신화통신
이와 함께 고효율∙스마트∙녹색으로 대표되는 항구의 '신인프라' 역시 대외무역 성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최근 안후이성 허페이(合肥)항 파이허(派河) 항구 구역에서는 중국산 자동차 330대를 실은 자동차 로로선 '항퉁(航通)01호'가 출항했다. 해당 선박은 장화이(江淮) 운하를 거쳐 창장(長江)으로 진입한 후 최종적으로 해외로 운송된다. '이동식 기계 주차장'에 버금갈 정도의 수송 능력을 갖춘 자동차 로로선은 도로 운송에 비해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운송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올 1분기 안후이항항(港航)그룹 소속 항구에서는 총 2만 대의 자동차를 원양 로로선으로 운송했다. 전년 동기 대비 264% 확대된 수치다.
상하이 양산(洋山)항 4기 자동화 부두는 세계 최초로 도입된 이중 컨테이너 자동화 크레인 레일을 통해 야적장의 작업 효율을 두 배로 높였다.
톈진(天津)그룹 역시 항구 스마트 관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 작업 효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또한 항구 간 연계가 강화되면서 화물 수출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무역 구조도 최적화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 통계에 따르면 1~4월 중 일반 무역 수출입은 전년 동기 대비 0.6% 늘어 전체 수출입에서 64.0%를 차지했다.
출처 신화통신
정리 차이나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