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액상형 전자담배 기기 등이 진열돼 있는 모습.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4/c54c087c-1888-4ca6-a5ab-12fd479d8532.jpg)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액상형 전자담배 기기 등이 진열돼 있는 모습. [뉴스1]
이날 정부는 인체 유해성 논란이 커지고 있는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중단을 강력히 권고했다. 미국에서 중증 폐 손상 환자가 1479명(15일 기준) 나오고 이 중 33명이 숨진 데다, 국내에서도 폐 손상 의심 환자가 한 명 나왔기 때문이다. 액상형 전자담배 규제 강화를 위한 연내 법 개정, 수입 통관 강화 등의 새로운 대책도 내놨다.
하지만 여전히 정부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궐련형ㆍ액상형 전자담배 등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전자 기기 장치’다. 이들 기기는 법 테두리 바깥에서 판촉, 할인 행사 등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내놓은 대책에는 '청소년 대상 판매 단속 강화'나 '불법 배터리 유통 제한' 등을 빼고는 기기 규제가 특별히 언급되지 않았다.
![액상형 전자담배 기기를 21% 할인해서 판매한다는 모 담배 업체 홈페이지 화면. [인터넷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4/fd876af9-3da0-49d6-9762-e37402f952c7.jpg)
액상형 전자담배 기기를 21% 할인해서 판매한다는 모 담배 업체 홈페이지 화면. [인터넷 캡처]
현재 전자담배 기기에 적용되는 유일한 법적 장치는 여성가족부의 ‘청소년 유해물질’ 고시다. 2년 전 개정된 고시에 따라 ‘니코틴 용액 등 담배 성분을 흡입할 수 있는 전자장치’가 청소년 유해물질로 지정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청소년 판매ㆍ유통만 막을 수 있다. 나머지 안전, 금연 관련 규제는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기기 자체에 적용되는 법률이나 주관 부처가 따로 없다. 그러다 보니 담배 업체가 화려한 디자인의 기기를 내세우면서 청소년·여성 등 새로운 흡연자를 끌어들일 위험성이 크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전문가들은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을 막으려면 액상뿐 아니라 ‘기기 장치’도 법 테두리 안에 둬야 한다고 강조한다. 미 FDA(식품의약품안전청)는 법적 전자담배 정의에 ‘구성품’(components)을 명시했다. 배터리 등을 비롯한 일체의 전자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부 규제의 근거가 될 수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은 지난달 담배로 규정된 것 외에는 흡연용으로 팔 수 없도록 규정한 담배사업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하기도 했다.
![미국 뉴저지 주의 한 상점 점원이 전자담배를 정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4/55a6c4f3-7cf7-41a4-9a7d-eb4dc5e413fb.jpg)
미국 뉴저지 주의 한 상점 점원이 전자담배를 정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액상 안전 문제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기기 규제는 많이 다루지 않았다"면서 "지난 5월 발표한 금연 종합대책에서 전자 장치 규제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온라인 광고 규제 등은 정부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