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6월 22일 공군 F-35A 스텔스 전투기 6대가 청주 공군기지에서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김성태 프리랜서
국방부는 이날 내년도 방위력개선비가 올해보다 2%(3401억원) 늘어난 17조3365억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방위사업청이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중 7365억원은 올해까지 전력운영비로 책정됐던 항목이다. 올해 예산 기준대로 재산정하면 내년도 방위력개선비는 전년 대비 -2.3%(-3964억원)인 16조6000억원으로 줄어든다는 얘기다. 국방부가 국민을 상대로 숫자놀음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자초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와 방사청은 내년도 예산을 짜면서 그간 군수지원에 해당하는 ▶성능개량 창정비(3177억원) ▶유도탄 수명연장(485억원) ▶전력화 초기 안정화(3703억원) 등을 방위력개선비 항목으로 옮겼다. 국방부 관계자는 “방위력개선비로 전환한 예산의 경우 방위사업법에 관련 근거가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항목 옮겨 숫자 부풀린 사기극"
한 의원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방위력개선비에 포함하지 않던 항목을 뜬금없이 이관하는 건 견강부회”라며 “실무자들이 ‘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는데도 항목을 바꿔 숫자를 부풀려 발표한 것은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비판했다.

이명박 정부 이후 방위력개선비 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외환위기 영향으로 마이너스 국방예산(-0.4%)을 편성했던 1999년도(김대중 정부)에도 방위력개선비만큼은 0.5% 증액했다.
이 때문에 정부 안팎에선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을 배경으로 군사력 강화를 내세운 청와대의 기조에 맞춰 국방부가 숫자를 부풀리는 꼼수를 구사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전작권 전환을 위해선 전력 증강이 필수적이다. 그간 전력 증강을 강조해오다가 내년엔 해당 예산이 줄었다고 발표하기 곤란해 항목을 이관하는 방식의 예산 증액으로 숫자를 맞추려 했다는 의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