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오전 9시 30분쯤 북한 평양 순안 일대에서 탄도미사일이 발사됐다. 미사일은 고도 20㎞에도 이르지 못해 폭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들어 10번째 미사일 발사며, 이달 들어 두 번째로 쏜 것이다. 지난 9일 한국의 대통령 선거 이후 처음이다.

16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평양 순안 일대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지만 고도 20km 아래에서 폭발했다고 밝혔다. 뉴스1

올해 북한 미사일 발사 일지.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군 당국은 구체적인 미사일의 제원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발사 장소가 지난달 27일과 이달 5일 신형 ICBM인 화성-17형(사거리 1만3000㎞ 이상)을 쐈던 평양 순안공항 일대여서 군 당국은 이번에도 화성-17형에 무게를 두고 있다.
화성-17형은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 때 북한이 처음 선보인 ICBM이다. 지난해 10월 12일 열린 무기 전람회인 ‘자위-2021’에서 화성-17이란 제식명이 공개됐다.
길이가 23~24m, 동체의 지름이 2.3~2.4m로 보인다. 세계에서 가장 길고, 두꺼운 ICBM이다. ‘괴물 ICBM’이란 별명이 붙는 이유다.

북한 신형 ICBM 화성-17형.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북한 전문 매체인 NK뉴스는 이날 평양 시민이 화성-17형 추정 미사일의 폭발을 목격했다고 보도했다. NK뉴스에 따르면 평양 하늘에서 지그재그로 올라가는 미사일 비행 궤적의 끝단에서 붉은색 연기 덩어리가 나타나더니 폭발음이 들렸다.

북한 미사일 폭발 추정 원인.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순안공항은 평양 시내에서 동서쪽에 떨어져 있다. 지난 2번의 화성-17형 발사에서 북한은 동해 쪽으로 쐈다. 고도 20㎞ 아래라면 평양과 가까운 하늘에서 미사일이 터졌을 가능성이 크다.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에 실패한 16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주한미공군 오산기지에 미 공군 고공정찰기 U-2S가 착륙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1월 ‘핵실험ㆍICBM 발사 중지’라는 모라토리엄의 폐기를 선언한 뒤 잇따른 미사일 발사와 풍계리 핵실험장ㆍ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복구 움직임을 내비치고 있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5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기 전 남북 관계와 북미 관계를 '강(强) 대 강' 대결 구도로 몰아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며 “군기를 잡으려다 체면만 구긴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핵ㆍ미사일 고도화에 전념했던 2016~2017년 여러 번의 발사 실패를 겪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ICBM 개발에 성공했다”며 “미사일 발사를 곧 재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ㆍ미는 다음 달 15일 김일성 생일(태양절) 110주년을 맞아 북한이 인공위성을 빌미로 ICBM 발사를 계획하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2017년 7월 4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14형을 발사하자, 이튿날 오전 강원도 동해안에서 열린 한미 연합 탄도미사일 타격훈련에서 한국군 탄도미사일 현무-2A(왼쪽)와 주한미군 에이태큼스(ATACMS)가 동시에 발사되고 있다. 연합뉴스
또 다음 달 실시로 조율 중인 한ㆍ미 상반기 연합군사훈련에 핵추진 항공모함ㆍ장거리폭격기 등 미국의 전략자산이 한반도에 전개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