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건영 충북도교육감 후보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일인 1일 충북 청주시 선거사무소에서 당선이 확실해지자 환호하고 있다. 뉴스1
2일 오전 0시 30분 기준 현재 전국 17개 시·도 중 7곳에서 보수 후보가, 7곳에서 진보 후보가 앞서고 있다. 3곳(부산·인천·경남)은 진보·보수 후보가 경합 중이다. 그간 교육감 선거는 진보가 2014년 13명, 2018년 14명 당선돼 압승을 거둬왔다.
경기, 첫 보수 교육감 유력

보수 성향 현직 교육감인 (왼쪽부터)강은희 대구교육감, 설동호 대전교육감, 임종식 경북교육감. 세 후보 모두 재당선이 유력하다. 뉴스1, 연합뉴스
특히 눈여겨볼 만한 지역은 교육감 직선제 이후 한 번도 보수 후보가 당선된 적 없는 경기다. 2009년 진보 교육감 시대를 열었던 김상곤 전 교육감 이후 줄곧 진보 후보가 당선됐지만, 이번 선거에서 처음으로 보수 임태희 후보의 당선이 유력하다.
충북과 제주는 각각 윤건영 후보와 김광수 후보가 현직 진보 교육감을 누르고 당선이 유력한 상황이다. ‘3선 출마 제한’으로 무주공산이 된 강원은 후보가 난립한 가운데 보수 신경호 후보의 당선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방송 3사 출구조사에서도 경합 지역으로 예상된 부산·인천·경남은 선거일 자정이 넘은 시간까지 유력한 후보가 나오지 않고 있다. 부산은 보수 하윤수 후보와 현직 교육감인 김석준 후보가, 인천은 도성훈 현직 교육감과 보수 최계운 후보가, 경남은 박종훈 현직 교육감이 김상권 보수 후보와 1% 안팎의 득표율 차이로 접전이다.
'현직 프리미엄', '단일화'가 승리 변수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6·1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날인 31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역사거리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단일화도 선거의 주요 변수였다. 서울시교육감은 보수 후보가 단일화에 실패해 분열한 가운데 진보 조희연 후보의 3선이 유력하다. 조 후보는 0시 30분 기준 40.7%를 득표해 1위다. 보수 후보인 박선영, 조전혁, 조영달, 윤호상 후보의 득표율을 합하면 조 후보의 득표율을 뛰어넘는다. 조 후보는 지난 3번의 선거 모두 보수 후보 난립으로 인한 반사이익을 누렸다.
"진보교육 피로도·낮은 투표율 '보수 교육감' 견인"
송기창 숙명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역색을 살리고 다양성을 증진하자는 게 지방자치의 취지인데 교육감이 8년 동안 진보 일색으로 가면서 교육 정책이 획일화했다”며 “유권자들이 변화의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낮은 투표율이 ‘진보 독주’에 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지방선거 투표율은 50.9%로 2002년(48.9%)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낮았다. 지방선거가 대선 후 84일 만에 치러지며 상대적으로 유권자의 관심이 떨어진데다, 윤석열 대통령의 ‘허니문’ 기간에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야권 지지세가 결집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