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서 지난달에만 54건 피해 신고

보이스피싱 이미지그래픽
14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광주 지역에서 발생한 노쇼 사기 사건은 총 70건에 달한다. 이중 지난달에만 54건이 집중돼 사기 범행이 급증하는 추세다.
경찰은 노쇼 사기 피해 사례가 급증하자 일선 경찰서 수사 인력 외에도 형사기동대 인력을 추가 배치했다. 또 광주서부경찰서를 집중수사관서로 지정하고, 유사한 범행 수법의 사건들을 병합해 용의자 추적에 나섰다.
경찰은 노쇼 범행이 단순한 장난전화 수준이 아닌 전형적인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로 보고 수사를 하고 있다. 광주경찰 관계자는 “노쇼 사기는 점조직 형태로 운영되며 송금, 현금 세탁, 대포통장 공급 등 역할을 분담해 이뤄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금 대납해주면…법카로 결제”

군 간부를 사칭한 남성이 삼계탕집 업주 오모씨에게 보낸 공문. 사진 피해 업주 오모씨.
가해자들은 자영업자들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위조한 신분증과 공문서, 명함 등을 제시하며 수백만원에 달하는 음식을 허위로 주문하고 있다. 주된 신분 사칭 대상은 군인과 소방관, 교도관, 병원 관계자 등이다.
군인을 사칭한 범행의 경우 ‘부대 물품 공급 결제 확약서’라는 제목의 위조 공문서를 이용하기도 한다. 해당 문서에는 육군 및 군부대 마크가 포함돼 있어 실제 문서와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꾸며져 있다.
불경기에 힘든 자영업자 노려

군 간부를 사칭한 남성이 삼계탕집 업주 오모씨에게 보낸 공문. 사진 피해 업주 오모씨.
군인을 사칭한 이 남성은 자영업자들에게 “군납품 업체에서 추가 물품을 구매해야 하니 대금을 대신 납부해 달라. 음식값과 함께 법인카드로 결제하겠다”며 현금 입금을 유도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과 군 관계자 등은 노쇼 사기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은 “경기 불황에 힘든 자영업자들을 노린 사기 범죄”라며 “대량 주문 연락이 올 경우 반드시 관련 기관 등에 재확인을 해달라”고 했다. 육군 제31보병사단 관계자는 “군에서는 음식을 주문하며 공문서를 보내거나 납품대금 대납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