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표시된 유가정보의 모습.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5/146faf74-b125-4a6f-9ced-0ed83d1fe09d.jpg)
5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표시된 유가정보의 모습. [뉴스1]
서울 일부선 휘발유 L당 2900원대
코로나19 사태 초반이던 지난 2020년 5월만 해도 휘발유는 L당 1200원대, 경유는 1050원대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올해 들어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가 길어지면서 유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부터 유류세 인하 폭을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하는 등 기름값 안정 조치에 나섰지만 '반짝 효과'에 그쳤다. 휘발유·경유 가격은 유류세 인하 직후인 지난달 첫 주 하락한 이후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 결과, 이날 오후 3시 기준 전국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L당 2028.78원, 경유는 2020.7원을 기록했다.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휘발윳값이 3000원 선에 육박할 정도다. 중구·용산구 등의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경유 가격은 각각 L당 2900원·2800원을 넘어섰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국제유가 175달러” 전망도 나와
2일 러시아를 포함한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가 다음 달부터 두 달간 하루 64만8000배럴씩 원유를 증산하기로 합의했지만 시장의 우려를 잠재우기엔 부족했다. 카스텐 프리치 코메르츠방크 애널리스트는 OPEC의 일부 산유국들이 러시아를 OPEC+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OPEC+가 합의 내용보다 훨씬 적은 양의 석유를 공급할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도 유가 상승을 부채질하는 요소다. 지난 2008년에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맞물려 유가가 급락했지만 현재는 경제 상황이 악화하는 상태에서 유가만 고공행진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1일 “경제에 먹구름이 끼었다고 표현했었는데 먹구름 정도가 아니라 허리케인”이라며 “유가는 배럴당 150~17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이달부터 미국의 휴가철인 '드라이빙 시즌'이 시작되고 중국이 도시 봉쇄를 본격적으로 완화할 경우 원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달 30일 유럽연합(EU) 27개국이 해상을 통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기로 합의하는데 성공했고 이에 대해 러시아 측이 가스 공급 중단 등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아 국제유가는 더욱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중국의 수요와 러시아산 수입이 변수
중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늘릴지도 관건이다. 1일 CNN에 따르면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이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처를 하는 사이 대러 제재에 동참하지 않는 중국·인도 등은 러시아를 통해 원유를 저렴하게 수입했다. 원유시장 분석업체인 보텍사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달 러시아산 원유를 하루 110만 배럴 수입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약 37% 증가한 규모다. 중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을 늘리면서 그나마 국제유가 상승폭을 억누르고 있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