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코인 칼 빼드나…美조사에 시총 5위 BNB 7% 급락

미 금융당국이 스테이블 코인에 이어 거래소 코인에까지 칼을 빼 들 태세다. 블룸버그는 6일(현지시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발행한 암호화폐 바이낸스코인(BNB)을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소식이 알려지며 BNB의 가격은 7일 오전 11시 기준 7% 넘게 급락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7일 오전 5시 301달러에 거래되던 BNB는 4% 넘게 급락한 뒤 1시간 만에 298달러까지 회복했지만, 다시 주저앉아 283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익명의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SEC의 수사관들은 바이낸스가 2017년 BNB를 발행하면서 실시한 ICO(초기 코인 공개)가 미등록 증권인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ICO는 새로 발행한 암호화폐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금하는 것이다.   

바이낸스는 2017년 BNB 출시를 앞두고 백서에서 “BNB의 유통량은 2억개로 제한되며 ICO로 모은 자금의 85%는 바이낸스의 글로벌 거래소를 구축하고 홍보하는 데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SEC가 이 부분이 증권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블룸버그는 “투자 계약을 정의한 1946년 미 대법원의 판례에 따라 투자자가 이익을 얻을 의도로 회사나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행위가 SEC의 규제 범위에 속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해 8월 3일 게리 겐슬러 미 증권거래위원장은 연설에서 “내가 아는 ICO는 모두 증권”이라며 “현재 암호화폐 시장에서 아무런 규제나 감시를 받지 않는 코인은 미등록 증권으로 분류해도 된다”고 말했다.

 
바이낸스는 SEC의 조사를 받고 있다는 블룸버그의 보도를 부인하지 않았다. 바이낸스 측은 성명을 통해 “규제 당국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규제 당국이 요구하는 사항을 계속 충족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SEC는 이와 관련한 블룸버그가 요청한 논평을 거부했다.

 
바이낸스에 대한 미 금융당국 조사는 이어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지난달 14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발생한 범죄 활동의 자금이 바이낸스로 유입됐다고 보고 미 법무부가 자금세탁 혐의로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3월엔 바이낸스가 판매한 디지털 토큰과 연계된 파생 상품을 미국인이 거래했는지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조사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바이낸스코인(BNB) 가격 차트. 코인마켓캡 캡처

바이낸스코인(BNB) 가격 차트. 코인마켓캡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