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브랜드 빌려쓰다 오히려 역인수했다…리나스 품은 SPC

한국 업체들이 잇달아 해외 브랜드 역인수에 나섰다. 국내 도입 초기에는 브래드 사용료(로열티)를 지불하고 브랜드나 운영 방식을 빌려서 사용하다가 되레 본사의 상표권이나 지분을 인수했다.  

SPC그룹은 프랑스 샌드위치‧샐러드 전문 브랜드인 ‘리나스’(Lina’s)를 인수했다고 7일 밝혔다. 2002년 허영인 SPC 회장의 주도로 리나스를 프랜차이즈로 도입해 운영한 지 20년 만이다. SPC그룹의 유럽지주회사인 ‘SPC유로’가 리나스를 소유한 프랑스의 리나스데블로프망사의 지분을 100% 인수하는 방식이다.  

리나스 프랑스 오스만점. [사진 SPC그룹]

리나스 프랑스 오스만점. [사진 SPC그룹]

 
리나스는 현재 프랑스를 비롯해 한국, 레바논 등에 매장 30여 곳을 운영 중이다. 국내에는 11곳이 있다. SPC그룹 관계자는 “샌드위치나 샐러드 품질이 우수해서 벤치마킹하려고 프랜차이즈 방식으로 도입했고 그간 파리바게뜨나 파스쿠치 등의 샌드위치‧샐러드 품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SPC그룹은 리나스를 샌드위치‧샐러드 연구개발(R&D) 허브로 삼고 미국‧싱가포르 등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할 계획이다. 잭 모란 SPC그룹 글로벌전략총괄 부사장은 “리나스의 기술력과 프랑스 시장에서 쌓은 경험은 SPC그룹의 유럽 등 세계 시장 확대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엔 한국콜마가 미국 본사가 소유한 ‘콜마’(Kolmar) 상표권을 100% 인수했다. 창립 100년 만에 콜마 브랜드의 주인이 미국에서 한국으로 바뀌었다. 한국콜마는 전 세계에서 팔리는 콜마 브랜드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는다.


스무디즈코리아도 2012년 스무디킹 미국 본사를 사들였고 2015년 신세계푸드가 이 지분을 전부 매입했다. 휠라코리아, MCM도 각각 미국과 독일 본사를 되레 인수한 경우다. 재계 관계자는 “글로벌 본사에서 브랜드나 운영 방식을 빌리는 데 그치지 않고 국내 상황에 맞게 운영, 되레 본사보다 매출 등 좋은 실적을 냈다는 의미”라며 “다만 방심했다가 다시 인수당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 만큼 끊임없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