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20조원 늘어나는 연금 지출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지출이 늘어나는 건 기본적으로 연금 수령자가 해마다 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평균 수명이 길어지며 연금을 수령하는 기간도 늘어났다. 반대로 출산율 하락으로 납입자는 계속 줄면서 연금 수입과 지출 간 불균형 우려도 커지고 있다.
고령화에 연금 수령자 증가
이용하 전 국민연금연구원장은 “미래 세대의 부담이 어느 정도 늘어날 수밖엔 없지만, 현세대도 지금보다 적게 받는 등 비용 부담을 나누는 방향으로 연금개혁을 해야 한다”며 “고령화 시대에도 연금 등 사회보험 제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면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무지출 50% 넘고, 비중 점차 확대
2012년 이후 올해까지 의무지출 비중이 50%를 넘은 건 2018년(50.6%)ㆍ2019년(51.0%) 두 번뿐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2024년 54.0%, 2025년 54.7%, 2026년 55.6%로 의무지출 비중이 매년 늘어난다. 의무지출이 늘면 정부가 정책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 '재량지출'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재량지출 중에서도 쉽게 줄일 수 없는 국방비와 인건비 등 경직성 재량지출을 제외하면 사실상의 ‘재정 여력’은 더욱 빠듯해진다는 얘기다.
기재부는 2026년까지 의무지출이 연평균 7.5% 증가하는 반면, 재량지출은 연평균 증가율이 1.5%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기재부 관계자는 “세수가 증가하면서 지방이전지출이 늘어나는 것과 함께 고령화로 인한 각종 연금 등 복지 부담이 커지는 게 의무지출 증가의 핵심 이유”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2020∼2060년 장기재정전망에서 ‘최악 시나리오’ 땐 2060년 의무지출 비중이 80%에 육박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정책 대응이 없어 현재의 인구 감소와 성장률 하락 추세가 유지되는 경우 2060년 총지출은 1648조원, 이 중 의무지출은 78.8%에 달하게 된다는 추산이다. 생산성 향상으로 성장률 하락세가 완화되는 시나리오에서는 75.1%, 출산율 제고로 인구 감소세가 둔화하는 시나리오에서는 76.8%로 각각 추계했다.